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263313
"불편한 지갑으론 웹 3.0 대중화 못한다"
Q. 웹 3.0에 대한 정의가 분분하다. 어떻게 보고 있나.
이런 이용 방식은 이미 확산되고 있다. 유튜브 '뒷광고' 논란이 일례다.
웹3.0에서의 보상은 토큰으로 제공된다.
Q. 최근 웹 3.0 관련 국내외 시장은 어떻게 전망하고 있나.
"실생활과 결합된 서비스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본다.
NFT가 무엇을 뜻하는지 한국말로 따져본다면 '단골'에 가까운 것 같다.
지금은 회원가입 시 본인확인 절차를 매번 거치는데, 웹 3.0에서는 NFT로 해결되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지금 시장은 사용자보다 투자자가 더 많다.
1990년대에 20대였던 세대는 이런 흐름을 몰라서 적극 뛰어들지 않는 게 아니라, 시드 자산을 이미 투자한 상태에서 이 시장을 들여다보게 되니 보수적 관점을 갖게 된다.
Q. 글로벌 경제에 대한 장기적 전망이 좋지 않고, 가상자산 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 업계가 '크립토윈터'를 극복하고 잘 성장할 수 있을까.
"누가 어디서, 어떻게 생존하냐의 문제다.
"보상을 받는 지갑의 사용성이 개선돼야 하고, 고객확인제도(KYC) 지원 여부도 중요하다. 트래블룰이 시행되면서 확인되지 않은 지갑으로는 자산 전송이 안 되게 됐다. 블록체인 업계 관점에선 중앙화 성격이 강해진다는 점에서 역행이긴 한데, 더 재밌으면서 편리한 웹 3.0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 관점에서 현재의 지갑은 너무 어렵고 위험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지갑이 등장하면 시장이 더욱 속도감 있게 성장할 거다.
가령 이더리움이나 클레이튼 지갑을 생성하면 암호화 키를 만들라고 안내된다. 영어로 된 키를 저장해야 하는데, 보통 귀찮아서 이걸 캡쳐한다. 해킹의 단초가 되기 쉽다. 이런 걸 의식하는 사용자들은 또 수기로 적어 종이에 보관한다. 집에 거액의 현금을 그냥 두는 것과 마찬가지 행위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폴리곤 등 운영체제 하에서 지갑 주소를 생성하려면 각자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각자 다르게 만들어야 한다. 그럼 암호화 키도 각각 생긴다. 이걸 어떻게 잘 보관하고 관리하겠나. 탈중앙화라는 업계 취지에 맞춰 독립적 사용성을 보장하되 보안은 위탁할 수 있는 지갑이 나와야 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도 이런 문제 해결에 집중한 지갑 솔루션들이 출시되고 있다."
"현재는 가상자산사업자(VASP) 자격 없이는 시장 진출 자체가 쉽지 않다. 이런 기업들은 가상자산 입출금을 받기 어렵다. 구조적으로 웹 3.0 비즈니스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결국 자산 입출금을 담당하는 지갑 관리 영역이랑 서비스 영역이 분리돼야 한다. 쇼핑몰을 창업할 때 어떤 제품을 팔고, 어떤 특색을 보여줄지는 사업자가 직접 결정하지만, 결제는 PG사 서비스를 쓰지 않나. 지금 웹 3.0 시장은 서비스 사업자가 PG사의 영역인 지갑도 만들어 쓴다. 그러다 보니 규제에 발목이 잡힌다.
지금은 아무리 스테픈이 흥행해도 이걸 통해 곧바로 솔라나를 살 수는 없다.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규제 완화를 호소하는 게 아니라, 규제 범위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는 정책 방안도 같이 도입되면 좋겠다. 지금으로선 서비스가 많아질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보니."
"저희는 웹 3.0 시장에서 PG사의 역할을 담당한다. 규제 대응을 잘해 웹 3.0 기업들이 지갑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게 하는 것이 목표다. 코인 가격이 오르면 해커들이 몰리고, 그러면 금융권 수준으로 방어해야 한다. 개발자들이 24시간 대응해야 한다. 그러다 개발자가 나가면 제품 코어가 멈추고, 이런 게 다 리스크다. 서비스 사업자는 어떻게 재밌게 서비스를 만들지, 적절한 보상 체계를 수립할지를 고민해야 하는데 가상자산 지갑 개발의 안전성 확보에 힘을 빼게 된다.
이런 부분을 해결해주는 게 가상자산 지갑 솔루션 '옥텟'이다. 가상자산 지갑을 만드는 데 보통 7~8개월 이상, 개발자 5명 이상이 붙들고 있어야 하는데 옥텟을 도입하면 5일 내에 지갑 인프라를 연동해준다. 오입금이나 이중 출금 제한, 내부 권한 관리, 내부자 활동 추적, 화이트리스트 설정 등의 기능이 지원되고 실시간 모니터링도 이뤄진다. 블록체인 부문 ISMS에 명시된 보안 요건들이다.
현재 국내 거래소 절반 이상, VASP 40% 이상이 옥텟을 쓰고 있는데 VASP 70% 이상이 채택하는 것을 사업 목표로 두고 있다. 65억원 투자를 받으면서 기업가치는 410억원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B2B 제품으로 충분히 잘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어 받았다. 410억원에서 적어도 2천억원 수준까지 키우는 방안에 대해선 명확한 계획이 있다.
지원하는 운영 체계도 현 24개에서 더 늘릴 계획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블록체인을 계속 업데이트하려 한다. 니어, 아발란체 등을 추가 검토하고 있다. 결국 웹 3.0은 사용자가 많아져야 한다는 입장에서, 개발자에게 편리한 도구로 옥텟을 고도화하려는 데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희를 거쳐 송금되는 암호화폐가 굉장히 많은데, 여기서 일부를 예대 마진 형태로 운영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고려 중이다.
B2C 서비스인 '토큰뱅크'도 있는데, 금융권의 '토스' 같은 앱이다. 토큰뱅크를 통해 안전하게 지갑을 관리하는 앱투앱 방식도 고민하고 있다. 원화마켓 운영 거래소 5곳이 공통적으로 상장한 코인이 11개인데, 한 번에 살펴보고 싶은 니즈가 있을 것으로 본다."
"현재 옥텟 공급사가 100여개 정도 되는데, 한 곳에서 오류를 발견하면 소급 적용해 패치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지갑보다 더 안전할 수밖에 없다. 지갑을 만드는 건 쉬울지언정, 매일 관리하기는 어렵다. 출금 시 삼중보안이 적용되는 체계도 구축 중이다.
해커가 보통 이용자 자산이 모이는 집금지갑을 노린다. 예치금을 단일 지갑에 모아놓으면 해킹에 따른 리스크가 엄청나다. 이걸 수많은 지갑으로 분리해 관리하면 지갑 하나가 해킹되더라도 탈취 가능한 자산 총량이 적어진다. 자산의 70~90%는 콜드월렛에 보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나아가 멀티시그 프로세스 및 내부자 콜드월렛 접근 체계를 수립, 적용하도록 가이드하고 있다."
김윤희 기자(kyh@zdnet.co.kr)
'2022년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202년부터 세율 20%, 이후에는 어떠한 영향이? (0) | 2022.07.25 |
---|---|
2030이 폭락장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이유가 뭘까? (0) | 2022.07.25 |
사기꾼 일론머스크? 비트코인 매각했다. (0) | 2022.07.22 |
우리은행, 신한은행의 거액 외환 이상거래 감지, 가상자산거래소와의 연루성? (0) | 2022.07.22 |
2022.07.22 뉴스모음 (3), 남부지검 테라 루나 사태 가상자산 거래소 압수수색, 블로체인은 암호화폐아니다, 싱가폴 금융당국 테라는 우리나라 기업 아니다, 비트코인 최악의 상황 지났다. (0) | 2022.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