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C%9D%B8%ED%94%8C%EB%A0%88%EC%9D%B4%EC%85%98
https://en.wikipedia.org/wiki/Hyperinflation
하이퍼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사전적 의미로 팽창, 부풀리기라 불린다.
통화에서는 아예 '통화 팽창' 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그럼 이런 통화팽창이 '극대화'된다면 어떻게 될까?
물가 상승이 통제 불가의 상태에 다다르고, 재화와 서비스의 희소성이 증가하며 가격이 상승하고, 정부가 이를 통제하지 못하고 계속된 화폐발행을 실행하는 상태를 말한다.
화폐를 계속해서 발행한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화폐를 계속해서 발행하면 그 가치는 떨어진다.
지금 100원이 초인플레이션 상태에선 똑같은 100원의 가치를 갖지 못하는 것이다.
물가가 급등한다는 얘기다, 미친듯이 상승...
예를들면 이전에 500원하던 과자가 5,000원이 될 수도 있고
짜장면을 50,000원에 사먹는 상황이 온다는 얘기다.
이게 어짜피 화폐가치가 그만큼 오르면 상관없는거 아냐? 이렇게 생각할수도 있지만.
생각해보면 이전에 쌓아놓은 내 자산의 가치가 폭락해버리는 것과 같다.
한마디로 이 종이 지폐는 그냥 종이가 되는 것... 더러워져서 휴지만도 못한 종이가 되는거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정의 그리고 효과
1956년 미국의 경제학자인 필립 케이건(Phillip Cagan)이 정의한 바로는
월 물가 상승률이 50%가 넘는 상황을 초인플레이션 상황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월 물가상승률이 50% 미만에서 최소 1년 이상 지속된다면 초인플레이션 상황의 종료로 정의했다.
초인플레이션의 효과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초인플레이션은 현재의 예금과 저축 등의 가치를 완전히 떨어트린다. 의미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따라러 화폐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환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공용 화폐보다는 실물 자산으로 이동된다. 예를들면 금과 은
그리고 세금을 징수하는 것 또한 의미없는 행위가 된다.
투자 또한 무의미해진다.
초인플레이션은 이전에 없었나?
그럼 이 경제 파탄의 상태인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이전에 없었나?
아니다, 예전에도 그리고 지금 현재에도 세계 어딘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이다.
최근에는 아르헨티나와 베네수엘라에서도 발생한 사례이다.
(근래 경제 뉴스를 보면 베네수엘라에대한 언급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해외에선 대한민국이 언급되는 날이 오지않길 간절히 기도한다...)
링크의 위키피디아를 보면 알 수 있듯 이전에 유럽에서도 발생했던 적이있다.
전쟁 이후 혼란한 상황에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인데...
계속되는 물가 상승을 막기위해 정부는 높은 단위의 화폐를 계속해서 발행하게되는데
독일의경우 100조 마르크를 발행, 헝가리는 2양 펭궤를 발행...(양이라니... 참으로 생소한 단위다.)
브라질은 2740%, 아르헨티나는 2315%의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는다.
짜장면 5만원은 우수운 정도인 것이다. 아르헨티나로 친다면 10만원짜리 짜장면이 된다는 것인데...
짐바브웨의경우 2억%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통화개혁을 시도했으나 이 또한 실패하여 결국 통화를 달러로 사용하기로한다...
그리고 가장 최근의 사례인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의 초인플레이션은 지금까지 이어지고있다.
표에 따르면 베네수엘라에서 현재의 가치가 100%에서 10%까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은 1년이 채 걸리지 않는다고한다. 저축에 의미가있을까?(소문에 의하면 엄청난 가난 때문에 쓰레기통을 뒤져서 쓰레기까지 먹고있다는데...)
위 그래프는 베네수엘라에서의 달러 가치이다. 2020년 3월 베네수엘라의 화폐와 미달러의 가치는 1$ =10000BsS인데
1BsS = 1,000,000BsF 정도이다.
즉 현재의 베네수엘라의 화폐는 정상상태일 때보다 1/1,000,000,000의 가치를 갖게된 것이다. 약 8년 동안 벌어진 일이고 현재진행형이다...그리고 표에서 보면 알다시피 물가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그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어떻게 탈출하나?
하이퍼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다소 극단적인 처방법이 필요하다고한다.
그리고 한 가지 방법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다른 여러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들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독일이 이에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1. 화폐개혁
새로운 화폐를 발행하고 현재의 팽창된 화폐가치를 내렸다. 1조 구마르크 : 1 렌텐마르크(신화폐)로 교환하여 터무니 없이 숫자만 큰 화폐를 과감하게 없앴다. 그리고 화폐를 일정량 이상 발행하지 않아야 한다.
2. 정부의 지출감소, 증세
국민의 희생이 필요하겠지만 세금을 큰 양으로 걷어 정부의 지출과 채무를 줄여나가야 합니다. 애초의 국가의 초인플레이션 자체가 적자(경제위기)에서 오기 때문에 이 적자를 극복하기 위해선 정부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또한 세금을 늘려 적자운영에서 벗어나야합니다.
3. 기타
독일의 경우 전쟁 배상금을 경감시켰고 외교적 성과로 빼앗겼던 영토를 돌려받았습니다.
"외교"라는 부분이 큰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이런 상황이 생긴다면 외교로 무역을통한 지출을 감소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예를들면 관세절감, 무역협정)이 있겠네요.
마냥 통화를 계속해서 찍어내서 공급한다거나 더 높은가치의 화폐를 찍어내는 것은 절대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은 역사가 알려주고있다. (그럼에도 정부들이 동일한 방법을 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니면 위에서 언급한 에콰도르처럼 아예 현재의 자국 통화를 포기하고 기축통화로 갈아타는 방법 또한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혼란 야기와 이를 정리하기 위해 처리해야 할 일들이 많아질 것이다.
'공부하기 > 공부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 Kruger Effect) (0) | 2020.04.10 |
---|---|
지금은 하락장인가? 상승장인가? (0) | 2020.04.06 |
부채담보부증권(CDO) &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 (0) | 2020.04.03 |
버핏 지수 (Buffett Indicator) (0) | 2020.04.03 |
경제 초보자가 확인 해야할 것들은? (0)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