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37일차.

(확진자: 56,482 => 93,598 / 사망자: 2,836 => 3,645)

세계는 여전히 고점 횡보중입니다. 브라질, 러시아 영향이 큰 편이네요.

브라질에서 리우 축제를 강행한 것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러시아가 2번째, 브라질이 4번째까지 올라왔습니다.

미국은 2만명 아래로 유지중이고 유럽에선 영국이 여전히 문제네요.

 

격리해제: 29,306=> 53,160

격리해제 인원이 상대적으로 증가했습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118일째)

1/23 시작

4/4 정점

4/4~5/19 고점횡보 진행중 (45일)

5/19 하락 진행중

 

일단은 오늘부터 하락 진행으로 잡았습니다.

문제는 미국이 1개의 주만 제외하고 경재 활동을 재개 했다는 점인데요.

이게 다시 악영향을 미치진 않을까 걱정됩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1,065 => 11,078, +13명

사망자 증가. 263 => 263, +0명

격리해제 9,904 => 9,938, +34명

(총 119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5/8 (18일, 3차 안정기)

5/9~ (11일, 2차 증가기)

 

확진자 숫자는 크게 늘지 않고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삼성병원 간호사 확진 뉴스가 뜨면서 큰 위기가 또 한 번 찾아온 것같습니다... 많이 전염되지 않았길 기대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ytn.co.kr/_ln/0104_202005170620090147

 

美 FDA. 빌 게이츠 후원 코로나19 프로젝트 돌연 제동

미국 식품의약국, FDA가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www.ytn.co.kr

아직 위험한데... 갑자기 왜?! 빌게이츠 블로그의 글 때문?

FDA가 돌연 코비드19의 진단 프로젝트에 제동을 걸었다.

미국 내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진자 수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추세라고는 하지만 아직 안심하기에 이른 시기인 지금 돌연 중단한 이유와 저의는 사실 더 찾아보면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빌게이츠가 지난주 화요일(5월 12일) 개인 블로그에 글을 올린 이후, 이뤄진 조치이라는데 블로그 글을 보면 별 내용은 없고. 5월 14일에 SCAN에 올라온 글을 보면 이유를 알 수 있다.

 

https://www.gatesnotes.com/Health/Seattle-Coronavirus-Assessment-Network

 

Scanning for answers to a pandemic

This first-of-its-kind surveillance program may help solve some of the most pressing questions about COVID-19.

www.gatesnotes.com

 

진단 프로그램은 환자들의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얻은 정보를 공유함으로 확진자를 줄이고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왜일까?

 

https://www.digitaltrends.com/news/fda-shuts-down-bill-gates-backed-coronavirus-testing-program/

 

FDA Shuts Down Bill Gates-backed Coronavirus Testing Program | Digital Trends

The FDA has requested the shutdown of SCAN, a Seattle-based coronavirus testing program backed by Bill Gates, while it awaits an emergency use authorization.

www.digitaltrends.com

FDA는 시애틀 네트워크가 코로나19 진단 결과를 환자들에게 통보하려면 별도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면서 "추가로 적절한 승인을 얻을 때까지 진단을 중단하라"고 통보했고, 네트워크는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진단 키트의 안전성과 정확성에는 문제가 없다"면서 "FDA의 의문을 적극적으로 해소해 가능한 한 빨리 진단을 재개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영리 생의학 연구기관인 스크립스연구소의 에릭 토폴 박사는 이번 진단 프로젝트는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선도하는 역할로 주목받았다며 FDA가 이 프로젝트를 중단시킨 것은 "기괴한 일"이라고 말했다고 타임스는 전했습니다.

 

진단 중단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그 저의는?

미 정부는 본래 지난 5월 15일 경제 재개를 계획했었다.

결국 계획대로 되지는 못했고, 여전히 경제 재개를 원하고 있는 트럼프 정부이다.

이런 상황에서 할 수 있는 합리적(?) 의심은 확진자수를 감소시켜 경제 재개를 노리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2020년 2분기의 절반 이상이 지난 지금 이미 2분기의 타격은 모두가 예상하고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6월까지도 현 상호아이 나아지지 못한다면 3분기 까지도 타격이 이어질 것이고 더 이상 부양책으로 시장을 억지로 끌어올리긴 힘들 것이다. 정책으로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실물가의 괴리가 점점 커질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실물 경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빌게이츠 블로그의 글

"팬데믹의 답을 얻기위한 스캐닝"

2020년 5월 12일

빌게이츠 씀.

 

[요약]

싸움을 이기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적을 아는 것 =>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서 아는 것이 적다.

실험은 계속되어야하고 실험의 결과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질문들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누가 얼마나 감염되었는지, 이들은 모두 감염 증상을 띄는지, 계절에 영향이 있는지, 언제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지, 그 때는 얼마나 안전한지 등)

 

현재 시애틀에서 진행되고있는 스캐닝 프로그램이 도움이 많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기대한다.

 

**SCAN 프로그램이란?

Seattle Coronavirus Assessment Network의 악어로, 빌게이츠가 지원하는 시애틀에서 진행되는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지원 프로그램을 말한다. 질병 감시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검사 참여자가 집에 머무르면서 테스트 스왑으로 샘플을 채취해 보내면 검사 결과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 뿐만아니라 건강한 사람도 포함한다. 이런 집단 샘플 검사를 통해 코비드19가 커뮤니티에서 어떻게 확산되는지 알아내는지, 누가 가장 위험에 노출되어있는지, 사회적 거리두기가 효과적인지를 알게 해준다.

 

가장 큰 의문점은, 실제로 몇명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느냐이다.

현재 건강하게 활동하는 사람들 중에서 무증상 감염자도 있다는 이야기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빙산의 일각과 같이 생각하라. 증상이 있는 사람이 우리가 보는 빙산의 일각과 같다면, 무증상 확진자까지 포함한다면 수면 아래의 빙산의 크기와도 같을 것이라는 것.

 

SCAN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퍼지기 전부터 진행되었던 프로젝트이다.

이전에는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바이러스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부족했다. 예를들면 그러한 바이러스가 사회에서 어떻게 퍼저나가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 가장 막기 좋은지에 대해서 말이다.

그래서 2018년에 감기를 비롯한 이런 호흡기 질환들에 대해 연구하고자 시애틀에서 시작된 연구 프로젝트이다.

연구 초기 발견된 결과는 고강도의 물리적 거리두기는 감기의 전염을 막는다는 것이었다.

(시애틀 태풍기간 연구결과로 밝혀짐)

 

2020년 1월 말, 미국 내 첫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가 발생했다. (시애틀 외 지역에서). 확진자는 우한 방문이력이 있었다. 시애틀 독감 연구팀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적 특징을 발견햇고 2월 중국 방문 이력이 없는, 바이러스와 링크가 없는 청소년 확진자를 찾아냈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가 몇주동안 무증상 상태로 퍼져나갔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미 존재한 SCAN 플랫폼을 이용하여 코비드19에 빠르게 적용했고 바이러스 진단, 추적에 적용했다.

SCAN의 장점은 빠르고 쉽게 이용이 가능하고, 외출이 필요없고 온라인으로 결과가 확인된다는 점.

 

음모는 없다, 단지 절차상의 이유일뿐!!

https://scanpublichealth.org/updates/2020-05-13

 

SCAN Project Update May 14, 2020

An update from SCAN on May 14th, 2020.

scanpublichealth.org

사실 쓸데없는 이유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SCAN에서 테스트한 결과는 현재 SURVEILLANCE TEST(감시 검사)로 분류되어있고

이 카테고리의 결과는 연구원(RESEARCHERS)들에게만 제공이 가능하다.

환자들이나 의사들에겐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

 

지금까지는 긴급 사용 허가를 받아서 (EUA, EMERGENCY USE AUTH') 진행을 했지만.

사실상 절차적인 검토와 추가적인 승인이 필요한 상태란 것.

 

따라서 이러한 절차적 문제의 협의나 승인만 된다면 검사는 다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어느정도 미국내에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부분이 진행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제가 3월 30일부터 코로나 바이러스 현황을 정리하기 시작했는데, 어느덧 5월도 끝나갑니다.

중국내에서 작년 10월 경부터 퍼지기 시작했었다던데 코로나 바이러스가 나온지 벌써 6개월이 넘었다고 봐야겠네요.

사스, 메르스가 이만큼 파급력이 없었는데도 지금과 비슷한 기간이 걸렸던 것을 생각하면 지금 코비드19는 한참은 더 지나야 끝날 것 같네요. WHO 전문가는 4년이 더 걸릴 수도 있다고 했다던데 그것보단 빨리 끝나야겠죠?

주말에 정리를 많이 못한만큼, 오늘은 좀 심도있게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확진자 고점 횡보 36일차.

(확진자: 102,900 => 112,127 => 56,482 / 사망자: 5,289 => 5,000 => 2,836)

제가 정리한 것이 주말에 늦게 올려서 줄어든 것처럼 보일 수 있으니 일단 2~3일 더 지켜보겠습니다.

그래도 각 국 숫자를 보면 줄어들고있는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계속 말하는 것처럼 이제 러시아, 중동, 남미쪽에서 하락세에 접어들면 저점 시작의 신호일 것입니다.

그 사이에 큰 국가들은 대부분 안정기에 돌입한 때일터라 경제적으로는 어느정도 회복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안정기 돌입은 6월 중순쯤 예상해봅니다.

 

격리해제: 56,777 => 63,883 => 29,306

격리해제 인원도 크게 줄은 것으로 보면 늦게 통계정리를 내서 그런게 맞는 것 같긴합니다...

위에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미국은 이제 많아도 2만명 내외입니다.

앞으로 무리하게 경제 재개를 해서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지 않는 이상 25,000명 위로 올라갈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19위 이내 국가들을 보시면 중동, 남미 국가들이 부쩍 늘어났고, 확진자 수도 많이 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고점에 다다르지 못한 국가들도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 국가들은 한 달 정도는 더 증가하는 모습을 보일 것 같습니다. 러시아도 2위가 되었는데 이 국가들을 아래에 좀 더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직까지 줄고있지는 않습니다. 여전히 고점이라고 봐야할 것 같고요.

늦게 올려다 쳐도 확진자 숫자가 늘은 것 같은데 어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는지 보니 러시아도 여전하고 남미쪽에서 브라질, 멕시코, 페루 같은 나라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도 파키스탄 같은 중동국가에서도 여전히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고있는 것도 한 몫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올릴때는이런 국가들의 현황과 추이도 봐야겠네요.

일단 누적 확진자 숫자를보면 기울기가 미묘하지만 꺾이긴 했습니다. 앞으로 횡보를 하다 아래로 꺾이는 모습을 보이겠죠? 줄어드는 숫자가 엄청나게 빨리 줄진 않을테니 아마 기간으로 따지면 2~3개월 정도 걸릴 것 같네요.

결국 타겟은 아직 큰 변함없이 8월달로 예상됩니다.

일별 확진자 수는 여전히 횡보입니다.

표시한 것처럼 솟은 부분들은 어딘가에서 폭발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했을 때의 모습들이 반영된 것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처음엔 중국, 북미, 유럽국가들, 중동, 러시아, 남미 이렇게 급증하는 곳들이 생길때마다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남아공 같은 나라들에서 조짐이 보이기 때문에 앞으로 적으면 한 번? 많게는 (재수 없으면) 세 번 정도는 더 이러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고 생각되네요. 그래도 큰 국가에서 줄어드니까 아마도 내려오면서 이런 모습을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이번주에 전 세계 확진자가 5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실 저는 중국 통계를 신뢰하진 않고 있어서 실제로는 이미 500만명이 넘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통계에 잡히지 않는 인원들도 있을 테고요.

미국 예상

(미국 - 총 117일째)

1/23 시작

4/4 정점

4/4~ 고점횡보 진행중 (45일째)

 

순탄하게(?) 우하향 진행중입니다.

아마 하락세에 돌입한 것이 확실한 것 같고요, 내일쯤 숫자를 보고 수정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1,050 => 11,065, +15명

사망자 증가. 262 => 263, +1명

격리해제 9,888 => 9,904, +16명

(총 118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5/8 (18일, 3차 안정기)

5/9~ (10일, 2차 증가기)

 

이번주까지도 급증하지 않으면 2차 웨이브도 잘 넘겼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제발!!


위기의 국가들... 다가올 위기의 국가들

러시아

러시아는 이제 막 고점에서 내려오기 시작했네요,

미국의 4월 중순쯤이랑 비슷한 구간인 것 같은데,

한달정도 늦게 진행된다고 보면될 것 같습니다.

그래도 치솟고있는 구간은 아니라 다행이네요.

 

브라질

오히려 브라질의 상태가 좋지 못한 것 같습니다.

빨리 시작된 편이라 금방끝날 줄알았는데 오르는 것이 멈추질 못하네요.

이제 좀 고점에서 내려오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이란

참 이란 상태를 보면 패턴도 없고해서 예상도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전에 미국 예상 시나리오에서 CASE3와 비슷한 패턴일까요?

한국도 이런 패턴이 약하게 나온 것이라고 생각하면, 경계를 함부로 낮추면 안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인 것 같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도 그렇고 남아공같은 패턴을 보이는나라들이 제일 답없는 것 같습니다.

패턴도 없고 사실 인프라가 너무 부족해서 통계도 제대로 못내고 진단도 제대로 못내는 상태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주말에는 자꾸 늦게 올리네요 ㅠ

 

확진자 고점 횡보 35일차.

(확진자: 102,900 => 112,127 / 사망자: 5,289 => 5,000)

오늘도 늦게올려서 기록만 하도록 하겠습니다.

 

격리해제: 56,777 => 63,883

아직까지 줄고있지는 않습니다. 여전히 고점이라고 봐야할 것 같고요.

늦게 올려다 쳐도 확진자 숫자가 늘은 것 같은데 어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는지 보니 러시아도 여전하고 남미쪽에서 브라질, 멕시코, 페루 같은 나라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도 파키스탄 같은 중동국가에서도 여전히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고있는 것도 한 몫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올릴때는이런 국가들의 현황과 추이도 봐야겠네요.

미국 예상

(미국 - 총 116일째)

1/23 시작

4/4 정점

4/4~ 고점횡보 진행중 (44일째)

 

미국은 일단 꾸준히 우하향 하고있고요, 특이사항이 없다면 다음주부터는 2만명 밑으로 꾸준히 내려가 있을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1,037 => 11,050, +13명

사망자 증가. 262 => 262, +0명

격리해제 9,851 => 9,888, +37명

(총 117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5/8 (18일, 3차 안정기)

5/9~ (9일, 2차 증가기)

 

의료진 분들이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열심히 해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확실히 확진자가 줄어들고 치료받은 사람도 늘고하니 의료시설에 여유가 생기면서 환자별 치료에도 집중이 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 한국의 치료중인 환자가  900명인데 (숫자로는) 총확진자 수의 15%정도 내로만 들어와도 사망자수는 급감하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많이 늦었네요...

 

확진자 고점 횡보 34일차.

(확진자: 95,968 => 102,900 / 사망자: 5,203 => 5,289)

너무 늦게올려서 일단 오늘은 기록만 하도록 하겠습니다.

 

격리해제: 44,361 => 56,777

미국 예상

(미국 - 총 115일째)

1/23 시작

4/4 정점

4/4~ 고점횡보 진행중 (43일째)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1,018 => 11,037, +19명

사망자 증가. 260 => 262, +2명

격리해제 9,821 => 9,851, +30명

(총 116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5/8 (18일, 3차 안정기)

5/9~ (8일, 2차 증가기)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33일차.

(확진자: 87,435 => 95,968 / 사망자: 5,263 => 5,203)

참담한 것 같습니다. 내려오나 싶으면 다시 올라가고...

두번성도 오르락 내리락 더 할 것 같다고 예상했었는데 딱 그렇게 진행되었네요.

일단 더이상 번질 국가가 딱히 없기 때문에 일단은 다음주쯤부턴 진짜 하락세에 돌입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격리해제: 57,080 => 44,361

 

미국이 다시 2만명 이상으로 올라오면서 확진자가 늘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114일째)

1/23 시작

4/4 정점

4/4~ 고점횡보 진행중 (42일째)

 

다시 2만명 위로 올라오긴 했는데 위에 그래프에 그려넣은 것처럼 미국은 전체적으로는 내려가는 추세에서 등락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아마 저 패턴대로라면 다음주쯤에는 등락이 있더라도 2만명 밑으로 내려오고 하락추세로 넘어간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패턴이 이탈리아의 흐름과 비슷하게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따라서 미국이 이탈리아 수준으로 내려오려면 6월초는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991 => 11,018, +27명

사망자 증가. 260 => 260, +0명

격리해제 9,762 => 9,821, +59명

(총 115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5/8 (18일, 3차 안정기)

5/9~ (7일, 2차 증가기)

 

거의 4달이 되어가네요. 아직까지는 2차 웨이브가 폭발적으로 진행이 되진 않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쯤에 이태원 클럽발 확진자 소식이 있었으니 그로부터 2주뒤인 다음주 주말까지 갑자기 확진자가 많이 생기지 않는다면 크게 증가하진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