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문
노트북을 켜니.. 업데이트하신다고 기다리시라는데… 와… 속이 타들어가는 줄 알았습니다. 아침에 회의도 있고 해서 어쩔 수 없이 아주 간단히만 적어보겠습니다.

우선 오늘 새벽 FOMC의 관건은 다음의 네가지였죠.

(1) 코로나 패닉 국면에서 도입한 특혜 중 하나인 SLR 완화 조치 연장 여부
(2) 단기 금리 마이너스 하락에 대응하기 위한 IOER인상 여부
(3)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도입에 따른 장기 금리 상승 제어 여부
(4) 뜻하지 않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예상보다 빠른 기준 금리 인상 여부(요게 점도표와 연계되어 있는 거죠)

네.. 이렇게 4가지인데요, 먼저 (4)번은 이번 FOMC에서 파월 의장이 제대로 클리어를 해주었죠. 사실 2주 전부터 장기 금리가 아니라 단기 금리가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났죠. 장기 금리는 시장 원리에 의해 결정(지금은 Fed의 양적완화가 영향을 강하게 주지만요)되지만.. 단기 금리는 아무래도 Fed의 기준금리 정책 영향을 크게 받곤 합니다. 단기 금리가 오른다는 얘기는 파월 의장이 지속적으로 언급해오던 기준금리 2023년 이후에 인상하겠다는 주장을 시장은 믿지 못하겠다고 하는 거죠. 시장은 반문합니다. 혹여나 예상치 못한 강한 인플레가 오면 어케할거니? 그리고 완전 고용이 되면서 실업률이 내려가면 임금이 오르면서 물가가 오를건데.. 그럼 금리 오를 거 아니니? 라구요…

여기에 대한 파월 의장은 답은 매우 클리어했죠. 우선 고용 시장의 강력한 회복세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했죠. 실업률 역시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얘기를 합니다. 실업률과 물가의 상관관계가 약해진지 오래다…. 라구요.. 네, 실업률 낮아진다고 물가 튀지는 않는다.. 라고 언급하고 있는 거죠. 그리고 뒤에 이렇게 못을 박죠. 실업률이 낮아졌으니 물가가 오르겠네.. 허걱… 이라고 과거에는 생각했었지만.. 그건 옛날 얘기다.. 라고 하는 겁니다. 그리고 뒤에 이렇게 쐐기를 박죠. Fed는 금리 인상 등의 액션을 할 때 진전이 나타날 것이라 예상해서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고… 실제 진전이 나타나야 움직일 것이라구요.. 네.. 실업률 낮아지니.. 물가 오르겠구나.. 라고 지레짐작하고 설레발 떨지 않고… 실업률 낮아져도.. 진짜 지속가능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시고 움직이겠다.. 라고 하는 겁니다. 그리고 점도표 신경쓰지 말라 전해라.. 하고 끝을 냅니다. 네.. 단기 금리는 큰 폭으로 하락했죠. 2년 국채 금리, 5년 국채 금리는 하향 안정세를 나타냈습니다. (4)는 클리어했네요. 이게 전일 시장의 환호를 불러일으킨 요인이었습니다.

단기 영역의 금리가 올라가는 것 역시 부담스럽게 느끼는 Fed인데요… 장기 금리를 낮추기 위해 단기 금리를 올여주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의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겠죠. 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에 대한 질문에 대해 파월 의장은 현재의 정책이 적절하다라고 일축합니다. 네, 그냥 지금 양적완화하는대로 할 게.. 냅둬~~라고 한 겁니다. 그리고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윗 단계의 YCC에 대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죠. 네.. 시장이 기대했던 장기 금리 눌러주기에 대한 선물은 크게 언급된 것이 없습니다. 그럼 (3)번은… 선물을 받지 못한 거네요…

(2)가 IOER인상인데요… IOER인상은 하지 않았지만 역 레포의 한도를 확대했습니다. 저도 이 부분은 아직 깊게 보지 않았는데요.. 초!단기 금리 시장에서 금리가 자꾸 마이너스로 내려가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서 얘기되었던 옵션이 IOER인상이나 역RP 금리 인상이었는데요… 이거 한도를 늘리는 것으로 해결하려는 듯 합니다. 이 부분은 얘기가 길어지니까요…. 추후에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금리, 즉 가격을 통해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자금의 흡수량, 즉 수량으로 통제를 하려는 듯한 모습입니다. 요건 내일이나 주말 에세이에서 다루어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1)의 SLR은 시장의 큰 관심사가 되고 있는데요, 요건 이례적으로 패스를 해버리시더군요… 아직 시간이 있으니까 놔둬봐~ 라고 말한 겁니다. 이게 굳이 필요한가.. 라는 논리와… 이걸 없애면 국채 금리 급등으로 시장이 무너질 것이라는 논리가 충돌하고 있는 거겠죠. Fed는 이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몇 일의 시간이 남아있음을 언급하면서 뒤로 미루어버렸죠.

일단… 시장은 (4)의 선물을 받았습니다. 다만.. 그게 그렇게 큰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내심으로는 SLR을 연장해주면서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통해서 장기 금리를 확 잡아내려준다고 했으면.. 달러 약세가 아주 제대로 나와주면서 성장주가 오늘 새벽보다는 훨씬 큰 폭으로 반등을 했을텐데요… 기준 금리 인상 정!말! 천천히 할 거야… 요게 오늘 새벽 FOMC의 핵심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외 눈여겨 보실 것이 있다면 일부 자산의 가격은 분명 고평가 되어 있다.. 라고 얘기를 하고 있죠.. 너무 방만한 통화 정책에 대한 경계감 역시 나타내고 있는 겁니다.

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썼으면 했는데.. 시간 관계 상 요 정도로 줄이죠. 오늘은 여기서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관심은 최대 내용은 부실
개인적인 나의 의견이다.
연준 발표에 대한 기대감은 역대급인 기간인데 그에 대한 내용은 기대 이하? 하지만 시장은 원하는대로 해석을 하는 것 같고 또 원하는대로 해석하는 것 같다. 확실히 내 머리로는 미스터 마켓을 이해하긴 어려운 것 같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867393

파월 "금리인상, 예측 아닌 실제 상황 확인 후 움직인다"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확실한 경기 회복 징후 없이 예측만으로 금리 인상에 나설 계획이 없다고 확언했다. 조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대

n.news.naver.com

https://m.stock.naver.com/news/read.nhn?category=mainnews&officeId=008&articleId=0004553069

"경제 다시 열린다" 기대감에 상승에너지 UP [뉴욕마감] - 네이버 증권

[머니투데이 뉴욕=임동욱 특파원] 뉴욕증시가 전날의 하락을 만회했다. 예상보다 좋은 일자리 창출 소식에 시장이 힘을 얻었다. ━뉴욕 3대지수 동반 상승, 애플·MS 강세━월가_황소상 / 사진제

m.stock.naver.com

뭔가 이런 앞뒤 안 맞는 일이 발생해도 시장은 올랐다.
1시간 이내 1퍼센트 가량을 미친듯이 움직이는 미장이라니... 비트코인인가?

신흥국들은 버틸 수 있을까?
이러한 상황에서 신흥국들이 버틸 수 있을까가 의문이다. 연준의 위로에도 불구하고 브라질은 기준금리를 올렸다 무려 0.75포인트...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267367

브라질 기준금리 2%→2.75%로 인상…물가상승 압력에 6년만에↑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브라질의 기준금리가 거의 6년 만에 인상됐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17일(현지시간) 열린 통화정책위원회(Copom)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에서 2.75%로 0.75%포

n.news.naver.com

혹시나 해서 찾아봤는데 아르헨티나는 이미 올려놓은 상태이다.
그래도 아직 다른 중국, 러시아, 남아공, 베트남 같은 신흥 국들은 금리를 상승시키진 않았다.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이 아닐까?
남미나 유럽쪽이 문제인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에 시장의 변동성이 심하다.

급락 급등이 심하다는 뜻이다.

그리고 하락과 상승의 이유가 뚜렷하지 못하다.

시장에 참여하는 개인들은 어디서든 이유를 붙여서 만들고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런 뉴스들을 보면서 최근에는 정말 이 이유가 맞을까 하는생각부터 든다.

이전에 경험들 그리고 최근에 얻은 경험들을 생각하면 맞지않다.

그리고 시장은 집단 지성이다. 이런 시장이 사소한 뉴스, 확인되지 않은 뉴스에 일희일비할 것 같진 않다.

 

지난 3월의 등락도 물론 코로나 바이러스가 영향이 없던 것은 아니지만 바이러스의 공포가 신용 경색을 일으켰기 때문에 급격한 하락을 만들어냈다.

이런 하락은 또 생길까? 현재 연준 그리고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부양책들을 펼치고있고 준비되어있기 때문에 이런 급락은 어렵다고 많은 사람들이 보고있다.

 

어쨋든 미국도 6월 11일 미 증시가 급락했다.

다우존스는 -6.9%, 나스닥은 -5.27%.

연준의 부양책

현재 연준은 부양책을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나눠서 시행하고있다.

첫째는 양적완화(QE), 불특정 다수에게 돈이 뿌려짐.

메커니즘(효과):

유통시장에서 연준이 국채 매입 => 주로 은행이나 투자기관으로 돈이 흐름 => 이익 발생을위해 투자

대신 돈은 위에서 아래로 흐름,

국채 => 회사채 => 주식(언텍트) => 하이일드채권 => 이머징시장 국채 => 이머징국가주식(ex. 삼성전자)

결국 돈이 넘쳐 미국에서 돌던 달러가 외부 유출까지 이어짐.

=>시장에서 가장 효과가 큼

 

그리고 두번째는 소위 말해 토탈케어(Total Care) 라고 불리는 방법이다.

토탈케어에는 집중타격, 정밀타격과 같다.

필요한 곳에 직접 지원을 하는 것.

 

토탈케어패키지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a. 중소기업대출 (0.95조 달러)

b. 지방정부채권 매입 (0.5조 달러)

c. 회사채매입 (0.75조 달러)

d. TALF (자산 유동화증권 매입) (0.1조 달러)

=> 2.3조 달러

근데 왜 떨어진거야?

그럼 이런 부양책들과 아직 대기중인 부양책들에도 불구하고 하락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코로나 바이러스 2차 확산 우려라는 단 한가지 이슈로 하락한 것은 아니라고한다.

이번 FOMC 때 파월 의장발언

- 2022년까지 제로금리 유지 발언

- QE는 현재 수준 유지 

 

1. QE 규모 축소

현재 무한 양적 완화를 지속하고있지만 이 무한이라는 것이 계속해서 무한정 달러공급을 한다는 뜻이 아니다.

연준은 급한대로 가장 돈을 많이 살포할 수 있는 QE를 3월부터 먼저 수행했다.

토탈케어의 정책들은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상황이 어느정도 정리 되었고, 연준이 시장이 안정화 되는데 필요한만큼의 규모로 달러를 공급하고 있고, 이 규모는 줄어서 현재 주 200억 달러 수준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필요하지 않는이상 연준은 이 규모를 늘리지 않는다고 했다.

=>유동성의 규모 축소 => 파월의 발언으로 크게 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확인

 

2. 토탈 케어

토탈 케어중에선 회사채 매입이 양적완화만큼의 효과가 있다 => 유사 질적 완화

CCF(Corporate Credit Facility) => 발행시장(Primary Market) + 유통시장(Secondary Market)

CCF(7500억 달러) => PMCCF (5000억 달러) + SMCCF (2500억 달러)

유통시장에 2500억 달러만큼 배정되어있다.

발표 3월초, 금액배정 4월초, 실제 수행 5월

현재  SMCCF만 55억 달러만 ETF로만 매입(ETF도 20%가 MAX & 개별회사채 매입X). PMCCF는 0달러 매입

=> 문제점 (FED자금 분배기능 미흡, 특정회사채 매입 기준이 없고 실제 수행자체에 어려움)이 있고 실제로 실행이 미흡

=> ETF매입은 20%만 가능, ETF 규모, 가장큰것이 500억달러 => 20%면 100억달러, 대기자금은 2500억달러, 기대치의 1/25 수준? 실제로 한 것은1/50 수준 => 실망

 

3. REPO 시장 금리 인상

결정타를 날린 것은 이것. FOMC 이후 목요일에 발표.

현재 FED가 REPO자금을 넣어주고있음.

1일 0.15%로 인상 (+0.05%)

1개월 0.2%로 인상 (+0.1%)

=> 레포로 자금조달 => 시장 투자인데

금리인상으로 시장에 악영향

위 세가지를 종합해서 고려했을때, 시장의 기대감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우려와 실망감으로 전환 => 큰 하락

반응형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kz0o3NJQpX0&t=29s

Opening statement transcript: https://www.federalreserve.gov/mediac...

FOMC 전문

Press conference materials: https://www.federalreserve.gov/moneta...

해석에 문제가 많으니 유이하세요...

Transcript of Chair Powell’s Press Conference Opening Remarks June 10, 2020

CHAIR POWELL.

Good afternoon, everyone, and thanks for joining us. Our country continues to face a difficult and challenging time, as the pandemic is causing tremendous hardship here in the United States and around the world. People have lost loved ones. Many millions have lost their jobs. There is great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많은 사람들이 실직했다. 미래는 매우 불확실하다) \

At the Federal Reserve, we are strongly committed to using our tools to do whatever we can, and for as long as it takes, to provide some relief and stability, to ensure that the recovery will be as strong as possible, and to limit lasting damage to the economy.(우리는 경제적 데미지를 경감 인정성을 유지하기위해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이다)

The most important response to this crisis has come from our health care workers. And on behalf of the Federal Reserve, let me express our sincere gratitude to those dedicated individuals who put themselves at risk, day after day, in service to others and to our nation. Let me also thank the many other essential workers across the country who have helped meet our basic needs for goods and services in these difficult times. The virus and the forceful measures taken to control its spread have induced a sharp decline in economic activity and a surge in job losses. Indicators of spending and production plummeted in April, and the decline in real GDP in the current quarter is likely to be the most severe on record.(4월에 소비 생산이 폭락했고 이번 분기 실제 GDP의 하락은 기록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한다.)

Even after the unexpectedly positive May employment report, nearly 20 million jobs have been lost on net since February, and the unemployment rate has risen about 10 percentage points, to 13.3 percent. As was highlighted by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this figure likely understates the extent of unemployment; accounting for the unusually large number of workers who reported themselves as employed but absent from their jobs would raise the unemployment rate by about 3 percentage points.(2월 이후 2000만명 이상의 실직자가 발생했고 실업률도 13.3%까지 약 10%가량 상승했다)

The downturn has not fallen equally on all Americans, and those least able to shoulder the burden have been the most affected. In particular, the rise in joblessness has been especially severe for lower-wage workers, for women, and for African Americans and Hispanics.(하락은 모든 미국인들이 동일하게 적용 되지 않았고 이런 피해는 가장 피해가 적어야할 저소득층들이 가장 많이 봤다.)

In recent weeks, some indicators suggest a stabilization or even a modest rebound in some segments of the economy, such as retail merchandise and motor vehicle sales. Employment rose in many sectors of the economy in May, and the unemployment edged down as some workers returned to their jobs from temporary layoffs. With the easing of social distancing restrictions across the country, people are increasingly moving about, and many businesses are resuming operations to varying degrees.

최근 몇 주간 경재활동이 재개되고 일부 산업이 회복했고 실업률도 조금 경감됐다.

 

At the same time, many households have been receiving stimulus payments and unemployment benefits, which are supporting incomes and spending. Activity in many parts of the economy has yet to pick up, however, and overall output is far below earlier levels. Moreover, despite the improvements seen in the May jobs report, unemployment remains historically high. Weak demand, especially in sectors most affected by the pandemic, is holding down consumer prices. As a result, inflation has fallen well below our symmetric 2 percent objective. Indicators of longer-term inflation expectations have been fairly steady. The extent of the downturn and the pace of recovery remain extraordinarily uncertain and will depend in large part on our success in containing the virus. We all want to get back to normal, but a full recovery is unlikely to occur until people are confident that it is safe to reengage in a broad range of activities.

The severity of the downturn will also depend on the policy actions taken at all levels of government to provide relief and to support the recovery when the public health crisis passes. The Fed’s response is guided by our mandate to promote maximum employment and stable prices for the American people, along with our responsibilities to promote the stability of the financial system. We are committed to using our full range of tools to support the economy in this challenging time.

In March, we quickly lowered our policy interest rate to near zero, where we expect to keep it until we are confident that the economy has weathered recent events and is on track to achieve our maximum employment and price stability goals.(우리는 3월에 금리를 0%낮췄고, 경제가 제대로 회복됐다 판단될 때까지 유지할 것)

We have also been taking broad and forceful actions to support the flow of credit in the economy. Without access to credit, families could be forced to cut back on necessities or even lose their homes. Businesses could be forced to downsize or close, resulting in further losses of jobs and incomes and worsening the downturn. Preserving the flow of credit is thus essential for mitigating the damage to the economy and setting the stage for the recovery. Since March, we have been purchasing sizable quantities of Treasury and agency mortgage-backed securities in order to support the smooth functioning of these markets, which are vital to the flow of credit in the economy. Our ongoing purchases have helped to restore orderly market conditions, and have fostered more accommodative financial conditions. As market functioning has improved since the strains experienced in March, we have gradually reduced the pace of these purchases. To sustain smooth market functioning and thereby foster the effective transmission of monetary policy to broader financial conditions, we will increase our holdings of Treasury and agency mortgage-backed securities over coming months at least at the current pace. 3월부터 지금까지 연준 자산을 늘려왔고 현재의 속도를 유지할 것이다 (주 200억달러, 월간 800억 예상)

 

We will closely monitor developments and are prepared to adjust our plans as appropriate to support our goals. The Federal Reserve is also undertaking programs to provide stability to the financial system and to more directly support the flow of credit in the economy—for households, for businesses of all sizes, and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se programs benefit the economy by providing financing where it is not otherwise available. In addition, by serving as a backstop to key credit markets, the programs can increase the willingness of private lenders to extend credit. Many of these programs rely on emergency lending powers that are available only in very unusual circumstances, such as those we find ourselves in today. We are deploying these lending powers to an unprecedented extent, enabled in large part by financial backing and support from Congress and from the Treasury. We will continue to use these powers forcefully, proactively, and aggressively until we are confident that we are solidly on the road to recovery.우리는 경제가 회복될 때까지 이 같이 강력한 정책들을 유지할 것

When the time comes, after the crisis has passed, we will put these emergency tools back in the toolbox.그리고 회복이 될 때는 이러한 정책들을 중단할 것 

I would stress that these are lending powers, not spending powers. The Fed cannot grant money to particular beneficiaries. We can only create programs or facilities with broad-based eligibility to make loans to solvent entities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loans will be repaid. Many borrowers will benefit from these programs, as will the overall economy. But for many others, getting a loan that may be difficult to repay may not be the answer. In these cases, direct fiscal support may be needed. Elected officials have the power to tax and spend and to make decisions about where we, as a society, should direct our collective resources. The CARES Act and other legislation provide direct help to people, and businesses, and communities. This direct support can make a critical difference, not just in helping families and businesses in a time of need, but also in limiting long-lasting damage to our economy.

At this meeting, my colleagues and I continued our discussion of approaches for conducting monetary policy when the federal funds rate is at its lower bound. The measures we discussed included explicit forms of forward guidance and asset purchases; we used these tools in the aftermath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y have become a standard part of our toolkit. We also reviewed the historical and foreign experience with targeting interest rates along the yield curve. Whether such an approach would usefully complement our main tools remains an open question. (마이너스 금리나 YCC에 대해선 아직 논의중)

We will continue our discussions in upcoming meetings and will evaluate our monetary policy stance and communications as more information about the trajectory of the economy becomes available. We also resumed our regular quarterly 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 or the SEP. The SEP is an input into our deliberations, not an outcome, and it does not represent a Committee view. Rather, FOMC participants write down their individual views of the most likely path for the economy, conditional on each participant’s view of appropriate monetary policy. We tabulate those submissions and we publish them as the SEP. Given the unusually high level of uncertainty about the outlook, many participants noted that they see a number of reasonably likely paths for the economy, and that it is not possible to identify with confidence a single path as the “most likely” one. Nonetheless, we believe that regular publication of the SEP provides a useful perspective on the way FOMC participants are assessing the path ahead. What the June SEP shows is a general expectation of an economic recovery beginning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nd lasting over the next couple of years, supported by interest rates that remain at their current level near zero. Of course, my colleagues and I will continue to base our policy decisions on the full range of plausible outcomes, and not on a particular forecast. This riskmanagement approach is the best way we can promote our maximum employment and price stability goals in these unusually uncertain circumstances. Finally, I want to acknowledge the tragic events that have again put a spotlight on the pain of racial injustice in this country. The Federal Reserve serves the entire nation. We operate in, and are part of, many of the communities across the country where Americans are grappling with and expressing themselves on issues of racial equality. I speak for my colleagues throughout the Federal Reserve System when I say there is no place at the Federal Reserve for racism and there should be no place for it in our society. Everyone deserve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fully in our society and in our economy. These principles guide us in all we do, from monetary policy, to our focus on diversity and inclusion in our workplace, and to our work to ensure fair access to credit across the country. We will take this opportunity to renew our steadfast commitment to these principles. We understand that the work of the Fed touches communities, families, and businesses across the country. Everything we do is in service to our public mission. We are committed to using our full range of tools to support the economy and to help assure that the recovery from this difficult period will be as robust as possible. Thank you, I look forward to our questions. 

 

이에 대한 해석은 아래 영상들을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youtu.be/ROuTplmI0g0

youtu.be/0g63ekDwFaU

 

보충) 오건영 팀장님 해설 요약

Fed 는 대부분 지난 4월과 비슷한 얘기

 

차이는 2022년까지 제로금리 유지 => 구체적인 포워드가이던스(Foward Guidance) 제시

FOMC 성명 이전에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15%정도 생겼었다.

제시 이유: 고용지표 서프라이즈 기록 => 금리가 오를 거이라는 시장 불안감 생성

발표이후 금리 인상 예상 소멸

 

현재 진행하는 수준의 양적완화를 유지

지금은 국채는 매주 200억 달러 수준으로 매입 => 월  800억 달러 수준

 

Yield Curve Control은 고민중

 마이너스 금리는 언급 X

 

기대치가 어디까지 였냐는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냐로 분석 가능 (지켜봐야함)

다만 환호할 수준은 아님. (Yield Curve Control 에 대한 강한 가이던스가 나와주길 기대)

효과: 금리 인하 불안감 해소

=> 지난 발표와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하기는 어려운 케이스

=> 연준은 아직까진 노골적으로 '호구'짓은 안 하고 있다. 기대한 것을 원할 때마다 계속 던져주진 않겠다는 것

시장이 원하는 것: YCC / 마이너스 금리 / 더 큰 규모의 양적 완화

 

양적완화=> 돈은 위에서 아래로 흐름 (대기업 to 중소기업)

따라서 양적완화 규모 축소 => 돈은 대기업 수준에 까지밖에 흐르지 못함

ex) 나스닥은 만스닥 달성, 하지만 중소형주는 하락 2%정도 (러셀 2000)

중소형주, 하이일드 채권 시장 주시 필요. 실물 경기는 아직 불안. CLO 시장 주시 필요.

 

인용기사 

일본은행(BOJ)과 일본 금융청이은행들에 미국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 관련 투자를 경고하고 나섰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금융청은 보고서에서 은행들의 자본완충력이 CLO 투자로 축소될 수있으며 "만기 전에 해당 투자를 매각할 의도가 없더라도 투자상품의 신용등급이 강등되면 상각위험이 있어 그에 따라 시장에 상당한 가격 변동성을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널은 그동안 금융청이 CLO 이슈에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기울였으나이번 주 BOJ과 함께 처음으로 CLO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보고서를 내놨다고 설명했다.

CLO
는 신용이 낮은 기업들이 담보를 제공하고 받는 대출인 레버리지 대출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고위험 고금리 상품이다. 은행이 저등급 기업에 대한 융자를 대출채권 형태로 증권사 등 금융기관에 매각하면, 이를 매수한 측이 여러 대출채권을 묶어 CLO로 만들어 투자자에게매각한다. 만약 기초자산인 대출의 가격이 하락하거나 디폴트에 빠지면 여기에 투자한 연기금, 보험사, 뮤추얼펀드, 헤지펀드등이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최근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기업들의 어려움이 커질 경우 관련 상품의 위험도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일본계 금융기관의 CLO 투자액은 전 세계 CLO 투자액 7천500억달러의 20%에육박한다. 특히 상당 부분이 일본에서 발행되지 않은 증권들에 투자됐다.”(연합인포맥스, 20. 6. 4)

 

ex) 일본 자금이 CLO에 투자

CLO 불안 => 일본 자금 이탈 => 엔화로 이동 => 엔화 공급 저하 => 엔화 강세

엔화, 하이일드 채권 가격, 이머징 통화, 국제 유가 모니터링 필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