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85일차.

(확진자: 182,404 => 210,117/ 사망자: 3,883 => 5,940)

 

격리해제: 106,885 => 252,861

격리해제가 엄청나게 늘었습니다.

 

비중으로 따졌을 때, 브라질과 인도의 격리해제 인원이 많이 늘었습니다.

독일과 프랑스는 이제 많이 내려왔습니다. 확진자는 아직 많이 발생하고는 있습니다...

칠레가 오늘부로 스페인을 넘어섰습니다.

예상 시점과 수치는 다르지만 어쨋든 교차를 이뤘습니다.

1~2주 내로 최고점이 다시 갱신되지 않고, 또 다시 확진자가 급증하는 이벤트가 생기지 않는다면

하락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고로 항상 저만의 예상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아주세요...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무의미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168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 2차 상승 (23일)

 

오늘도 5만명대를 기록했습니다...그래도 조금씩은 줄고있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13,181 => 13,244명, +63명

사망자: 285=> 285, +0명

격리해제 11,914 => 11,970, +56명

(총 170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 (60일, 2차 증가기)

 

일정 수치에서 좀처럼 내려오지 못하고있는 실태입니다.

사람들이 조금 더 경각심을 갖고 조심하는 방법 외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84일차.

(확진자: 169,782 => 182,404/ 사망자: 3,161 => 3,883)

예상대로 확진자는 다시 증가했습니다.

최고점을 다시 한 번 넘느냐 마느냐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미국에선 파우치가 미국에서 일 확진자 10만명 경고를 했었는데.

만약 그 말대로라면 전 세계 확진자가 매일 20만명 넘게 발생할 수 도있다는 얘기가 되겠네요.

뭐 이전에도 갔다왔던 수치라 말도 안 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격리해제: 90,233 => 106,885

격리해제도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브라질은 조금 줄었는데, 미국이 많이 늘어났네요...

미국은 오늘 300만명을 넘겼습니다. 미국 인구의 1% 정도가 코로나 확진자가 되었습니다...

스페인이 오늘 칠레에 따라잡힐거라 예상했는데 확진자가 다시 두 배로 늘어서 현재 위치를 유지했네요.

다시 느는 것은 아닌가 걱정입니다. 추세상으로는 다시 조금은 늘어나는 형태네요...

그리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근 확진자 숫자가 갑자기 많이 늘어 걱정입니다.

계속해서 상황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라 걱정입니다.

약 3달이 넘는 시간동안 파란색 선과 노란색 선의 갭만큼 치료중인 인원이 누적되었다고 봐야합니다.

참고로 항상 저만의 예상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아주세요...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무의미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167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 2차 상승 (22일)

 

요근래 5만명대만 5번 발생했는데. 그 위로 늘지 말아야할텐데 걱정입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13,137 => 13,181명, +44명

사망자: 284=> 285, +1명

격리해제 11,848 => 11,914명, +66명

(총 169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 (59일, 2차 증가기)

 

확진자가 다시 증가한지 어느덧 두 달이나 흘렀습니다...

다행이도 오늘은 격리해제가 더 많네요! 앞으로 982명!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83일차.

(확진자: 153,195 => 169,782 / 사망자: 3,601 => 3,161)

 

 

격리해제: 68,408 => 90,233

한 1~2주 정도는 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일단 그래프 자체는 최고점에서 내려오는 모양새를 그리고는 있습니다.

오늘 다시 상승하고는 있기 때문에 더 신중하게 판단해야겠네요.

 

아마 내일이면 칠레가 스페인까지 넘어설 것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현재 추세로면 유럽국가들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날 것으로 보입니다.

확진자보다는 격리해제인원이 늘어난 비율이 높긴하지만, 그 갭을 매꾸기엔 아직 부족한 상태입니다.

참고로 항상 저만의 예상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아주세요...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무의미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166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 2차 상승 (21일)

 

미국은 다시 최고점에서 하락국면에 돌입했지만 누적되는 치료인원은 계속해서 늘고있다는 점이 어려운 부분입니다.

빨리 치료제가 나오거나, 확산방지를위한 확실한 방안이 필요합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13,091 => 13,137명, +61명

사망자: 283=> 284, +1명

격리해제 11,832 => 11,848명, +16명

(총 168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 (58일, 2차 증가기)

 

오늘도 확진자가 격리해제보다 인원이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매일 통계를 내며 대한민국의 추세를 보니 이런 의문이 생깁니다.

과연 코로나 바이러스를 언제쯤 끝낼 수 있을까?

어떠한 방법이 추가되어야 더 이상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을 거인가?

현재 한국은 나름 어느정도의 안정권에 돌입됐습니다.

유럽국가들에 비하여 고점대비 더 많이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일정수준이하로 내려오지 못하고있는 상황이 지속되고있습니다.

해답이 있을까요?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82일차.

(확진자: 221,764=> 153,195 / 사망자: 6,071 => 3,601)

어제 통계를 못냈는데 오늘을 기준으로 토요일 인원을 계산했습니다.

고점을 찍고 다시 내려오는 모습입니다.

 

격리해제: 230,440 => 68,408

격리해제가 엄청 많이 늘었네요.

제가 기록하는 통계상으론 격리 해제가 최대값을 찍으면서 교차까지 이뤄냈습니다.

진짜 최고점을 지난 것일까요?

확진자와 격리해제 전부 최고점을 찍으며 교차, 의미있는 것일지...

그만큼 오늘의 낙폭도 컸습니다.

 

유럽.주요국가들은 안정화 되어가면서 점점 아래로 내려가고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취약한 이머징 국가들이 계속해서 상승을해서 문제인 것 같습니다.

최고점을 갱신하며 교차를 이루고 본격 하락세로 진입하게 되는 것인지...

참고로 항상 저만의 예상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아주세요...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무의미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165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 2차 상승 (20일)

 

4만명대로 계속해서 발생중입니다.

다음주면 미국만 300만명의 확진자를 기록하겠스니다.

전 세계의 30%정도네요...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12,967 => 13,030 => 13,091명, +61명

사망자: 282=> 283 => 283, +0명

격리해제 11,759 => 11,811 => 11,832명, +21명

(총 167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 (57일, 2차 증가기)

 

어제오늘은 치료중 인원이 증가했습니다.

오늘 통계로 976명.

3일째 확진자가 60명댈 발새했네요...

다음주에는 다시 격리해제 인원이 늘어나고 확진자가 줄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정부 21번째 부동산 정책이 나왔다.

그리고 이어서 여러가지 방향이 하나 둘 나오기 시작하는데...

이런 규제들이 부동산 가격 조정에 큰 도움이 되는지 의문이 안 든다면 오히려 이상하다.

 

갭투자 원천봉쇄

v.kakao.com/v/20200622163009234

 

[집중진단] 내일부터 토지거래허가제..잠실·삼성 갭투자 원천봉쇄

■ 경제현장 오늘 '집중진단' - 두성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제문 창조도시경제연구소 소장 내일(23일)부터 잠실과 삼성동 일대 등에서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됩니다. 앞으로 ��

v.kakao.com

한마디로 이번에 지정된 강남의 4개 지역의 부동산 거래를 위해선 국토부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것...

이 정도면 제대로 시장 통제가 아닌지? 왜 계속해서 이런 핀셋 규제를 하는 것인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전세끼고 사면 징역, 현금 없으면 서울은 이제 못사는가?

v.kakao.com/v/20200623094400258

 

오늘부터 잠실·삼성·청담·대치동 아파트 전세끼고 사면 최대 '징역형'

[서울경제] 오늘(23일)부터 서울시 송파구 잠실과 강남구 대치·삼성·청담동 동 일대에서 집을 사려면 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만약 이 지역에서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사는 등 구청장의 허��

v.kakao.com

위 뉴스와 내용을 이어가는데, 현재 서울 지역은 전체적으로 집값이 하늘을 뚫고 올라가고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금없이, 대출만으로 어떻게 서울에 어찌 입성한다는 말인가?

특히나 강남지역은 아예 국가에서 대놓고 지정해준 "천룡인" 거주직역이 되어버렸다.

 

불로소득은 나쁜 것?

v.kakao.com/v/20200630065908097

 

"부동산 투자수익 환수해야"..부동산 국민공유제 도입 의지 밝힌 김현미

[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다주택자에 대한 세 부담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세제를 개편하고 부동산 투자 수익을 환수할 수 있는 시스템��

v.kakao.com

세금이 더 필요한 것인지, 부동산을 잡을 생각이 있는건지 의문.

그냥 공급을 많이 늘리면 될텐데... 물가를 내리는데는 수요보다 공급이 더 중요하다...

좋은 지역에 공급을 늘리고 규제를 풀어보면 어떨까? 어짜피 인플레이션 경제면 집 값이 오르는 것은 맞다.

하지만 이 정도 까지는 아닐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v.kakao.com/v/20200623174303059

 

 

[단독] 실업급여 '펑펑'..고용보험기금, 결국 연말 바닥난다

실직자에게 지급하는 실업급여(구직급여) 재원인 고용보험기금이 올해 말 고갈될 것이란 정부의 자체 추산이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실직자가 급증한 데다 정부�

v.kakao.com

코로나 바이러스로 산업 그리고 경제 타격, 고용보험기금의 고갈

실업자, 미취업자 그리고 회사들의 휴업이 계속됨에 따라, 고용보험기금도 바닥이 드러나고있다.

결국 후세의 영혼까지 끌어모아야 현재를 버틸 수 있는 상황.

억지로 버티느냐... 현실을 받아드리고 새로 시작하느냐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

 

소액주주도 주식 양도세 부과

v.kakao.com/v/20200625083804313

 

[속보] 정부 "2023년부터 소액주주도 양도세 부과"

정부가 2023년부터 모든 상장주식 양도소득에 세금을 물리기로 했다. 대신 공제 혜택을 늘려 연간 2000만원까지는 비과세한다. 현재 0.25%인 증권거래세율은 2023년까지 0.15%까지 낮춘다.  홍남기 ��

v.kakao.com

불로소득이 말이 불로소득이지... 몸으로 뛰어야만 노동인가?

그럼 사무실에 앉아있으면 다 불로소득인지...

깨작깨작이지만 대학생때부터 시장에 참여했는데 그냥 돈만 넣고 빼고 하면 주식으로 부자가 될 수 있으면 모두가 부자가 됐을 것이다.

이 또한 중산층과 서민의 고충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아닐까? 갈수록 기회만 뺏어가는 정책들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지 모두 인지하고 생각은 하고 있는가? 휘둘리지말고 깨어나야할 시기이다.

잇다른 금융상품 사기의혹

n.news.naver.com/article/025/0003012213

 

검찰 ‘환매 중단’ 옵티머스자산운용 등 14곳 압수수색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옵티머스자산운용이 판매사로부터 사기 혐의로 고발된 가운데 검찰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25일 서울중앙지검 조사1부(부장검사 오현철)는 판매사인 NH투자증�

n.news.naver.com

라임, 신라젠 사태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계속해서 이런 금융상품 의혹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이번 시기에 왜 이렇게 많이 발생하는 것인가?

금융 기관도 운용기관도 믿을 곳이 없는 것 같다. 결국 개인투자자들이 스스로 공부하고 깨우치는 방법 밖에 없다...

문제는 배울 곳도 많이 없다는 것, 그리고 그 신뢰는 누가 보증해준다는 말인가?

이런 복잡하고 베일에 가려진 상품들이 자꾸 나오고 사기 의혹 그리고 사기 판정이 많이 나오는 현상도 현재 상태가 좋지 못하다는 시그널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www.yna.co.kr/view/AKR20200703069151002?input=1195m

 

한국투자증권, 옵티머스 투자자에게 원금 70% 선지급(종합) | 연합뉴스

한국투자증권, 옵티머스 투자자에게 원금 70% 선지급(종합), 박원희기자, 금융.증권뉴스 (송고시간 2020-07-03 16:32)

www.yna.co.kr

일단은 일부 94명의 투자자들에게 70%는 선지급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나머지 30%는 그리고 최종 조사 결과는 어떻게 될지는 더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다.

 

볼커룰 완화

www.fnnews.com/news/202006261553562784

 

美 금융당국, 볼커룰 추가 완화...은행권 투자 범위 넓혀

지난 5월 22일 촬영된 미국 워싱턴DC 연방준비제도 건물.AP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금융규제 당국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 금융기관들의 위험 투자를 제한했던 볼커룰을 추가로 완화

www.fnnews.com

미국 은행들을 규제하던 볼커룰이 완화되었다.

볼커가 사망한지 1년도 채 안되서 바로 완화라니...

지난해 12월 사망한 폴 볼커 전 연준 의장의 이름을 딴 볼커룰은 은행의 벤처캐피털펀드 등 규제대상펀드 소유지분 취득, 보유 등을 금지하는 법안으로 2013년에 승인됐다. 
당국은 이날 발표에서 규제대상펀드 가운데 벤처캐피털펀드 및 유사 펀드를 제외해 은행의 해당 펀드 투자를 쉽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성명을 통해 "개정안은 제한 없이 광범위한 벤처캐피털펀드에 투자할 문을 열어줬다"고 비판했다. 그는 2013년 볼커룰에서는 벤처캐피털펀드를 규제대상펀드에서 제외할 법적인 근거를 찾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은행들은 계열사 간 파생상품 거래에서 증거금을 쌓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은행들이 약 400억달러(약 48조원)의 여유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볼커룰은 2010년 도드 프랭크법의 일부로, 은행의 무책임한 투자로 다른 금융위기가 발생하는 걸 막기 위해 도입됐다.

제레나 맥윌리엄스 FDIC 회장은 성명에서 "개정안에서 자기자본거래는 여전히 허용되지 않지만, 은행의 금지되는 활동에 대한 기준이 더 명확해졌다"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볼커룰 완화를 추진해왔다. AP통신은 연준과 FDIC 내 민주당 지명 인사들이 모두 반대해온 이번 결정이 트럼프 정부 규제 완화 정책의 최대 공적이라고 밝혔다. 

 

은행들의 투자가 더욱 활성화된 것이 앞으로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만 있을지 기대가된다.

사실 볼커룰은 은행을 규제한다는 목적보다 은행들의 파산을 보호하기 위한 법이라고 봐야하는 것이 맞을 거 같은데.

볼커룰 완화 이후 은행에 무모한 용자가 등장해서 위기에 처하는 대형은행이 나오진 않읋까 우려스럽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