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ww.yna.co.kr/view/AKR20200420074300002?input=1195m

 

IMF "전세보증금으로 주식투자…전세제도-증시간 연계성 증가" | 연합뉴스

IMF "전세보증금으로 주식투자…전세제도-증시간 연계성 증가", 성서호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4-20 12:06)

www.yna.co.kr

전세 보증금으로 주식투자 증가

다소 지난 뉴스이긴 하지만 지난 4월 IMF에서 알린 내용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의 집값이 2008년 금융위기 당시만큼 하락할 경우 고령층 차주의 취약성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전세보증금이 주식투자에 활용되고 있다고 이에 대한 위험을 평가해야 한다고 한국 정부에 권고했다.

금융위원회는 20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IMF의 한국 금융부문 평가 프로그램(FSAP) 결과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주요 은행에 기업대출을 포함한 전체 대출에 대한 경기대응 완충자본 적립 의무를 부과하고 있지만, 가계대출에 대한 완충자본 적립 의무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보고서에서 IMF는 고령층의 가계대출 비중이 크다는 점 등 가계부채와 관련한 여러 취약 요인을 얘기했는데, 전세보증금의 주식 투자 때문에 나중에 돌려주지 못할 위험이 있다고도 지적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IMF는 오픈뱅킹 시스템, 전자화폐가 시장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것을 권고했다.

 

그냥 간단하다. 현재 전세자금 즉, 가계 대출 자금들이 주식시장에 상당 부분이 흘러들어와있으며. 리먼사태와 같은 충격이 오면 엄청난 타격이 올 것이고 주요 대상은 고령층, 그리고 은행이 이를 도와줄 돈이 없고 의무도 없다는 것.

 

한국의 가계부채 상태를 보자,

2019년 4분기까지 GDP 대비 민간부채 상승폭을보면

 

1위 칠레: 17.8% 상승

2위 한국: 15.5% 상승 (182.1% => 197.6%)

3위 스웨덴: 14.8% 상승

4위 프랑스: 10.2% 상승

5위 스위스: 7.8% 상승

 

현재 이런 사태는 2008년의 미국의 상태와 유사하다, 그리고 미국에서도 상품만 바뀌었지 똑같은 상황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

세계 위기가 찾아오리란 법은 없다, 하지만 오지말란 법도 없다.

판단은 자신의 몫이고 책임도 자신의 몫이다.

 

연준은 한 발 빼고있다?

https://wolfstreet.com/2020/06/18/fed-ends-qe-total-assets-drop-liquidity-injection-ends/

 

Fed Ends QE, Total Assets Drop. Liquidity Injection Ends

The Big Shift: Fed shifts to propping up consumption rather than asset prices.

wolfstreet.com

앞서 오건영 팀장님의 내용과 일맥상통한 내용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수치를 한 번 보고 확인하면 좋을 내용인 것 같습니다.

이번주 Fed 자산 밸런스, - 740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 감소 

 원인중 하나는 기축통화 나라간 스왑한 유동성의 유출,

이 것은 오히려 스왑 국가들의 위기상황이 안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타격에 영향을 준 요인이죠, Repo의 유동성 감소입니다.

이는 레포금리 상승에 따른 결과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회사채 매입은 늘어난것 같고요.  

 국채 매수는 지속적으로 유지중, 언급한 것처럼 급격한 매입은 없고 완만하게 매집중입니다.

 MBS는 빠르게 매입중입니다.

MBS 쪽이 이만큼 시급해졌다는 뜻으로 확인되는 것 같습니다.

부실한 곳부터 흔들리기 마련이란 얘긴데...리먼때랑 똑같은 결과로 이어질까요?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69일차.

(확진자: 181,745=> 194,836 / 사망자: 6,303 => 4,876)

오늘 통계는 조금 늦게 올려서 통계수치가 다소 높게 잡혔습니다. 그렇다 쳐도 이미 높은 상태라...

 

격리해제: 95,534 => 139,902

격리해제는 역시 예상대로 재 상승했습니다. 

확진자가 늘면 이후에 격리해제도 느는 패턴은 바뀜이 없습니다.

치솟는 수치가 무섭습니다....

참고로 항상 저만의 예상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아주세요...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무의미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151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 2차 상승 (6일)

 

3만명이 2일째 넘었습니다. 몇일 유지된다면 2차 위기가 찾아온 것이 확실하겠네요...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12,373 => 12,421명, +48명

사망자: 280 => 280, +0명

격리해제 10,856 => 10,868명, +12명

(총 153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 (44일, 2차 증가기)

 

2차 확산자는 꾸준하네요... 오늘은 격리해제 인원이 적다는게 다소 아쉽습니다. 

치료중인 인원이 1000명 밑으로 떨어졌었느데 다시 1000명이 넘은지 꽤 됐네요.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68일차.

(확진자: 176,559 => 181,745/ 사망자: 4,974 => 6,303)

와... 정말 2차 확산인가봅니다... 최고점을 또다시 갱신했습니다.

제 통계상으로는 수치가 너무 좋지 않습니다. 확진자와 사망자는 높은 수준으로 올랐는데 격리해제는 오히려 내려간 상태입니다.

상태가 점점 고점 횡보라기 보다는 상승세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이전에도 언급했지만 확진자가 많아지면 의료시설 및 인력의 부족으로 관리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정말로 치료제가 필요한 상황이네요...

브라질의 상황이 너무 심각합니다. 5만명이라니...

 

격리해제: 114,969 => 95,534

격리해제는 사실 많이 줄어든 것은 아니지만, 확진자가 고점을 찍었는데 오히려 하방을보니 아쉽네요.

그래도 확진자가 증가한 만큼 격리해제도 나중에는 감소할 것이라 희망을 가져봅니다.

사이트에 그래프는 제 통계와는 시간차나 집계시간에 차이가있어서 다르지만 제가 그리고있는 그래프는 좀 처참하네요... 4~6월만해도 횡보한다고보고 곧 하락하겠죠 했는데 야금 올라가버렸네요... 이대로면 6월 말에는 1,000만명이 될 것 같네요...

참고로 항상 저만의 예상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아주세요...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무의미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150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 2차 상승 (5일)

 

불과 어제 ? 표시를 했는데 미국은 다시 3만명이 넘었습니다...

우려했던 대로, 2차 상승이 이미 진행된 것 같습니다. 숫자를 카운트해보니 지난주부터 2차 상승기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12,306 => 12,373명, +67명

사망자: 280 => 280, +0명

격리해제 10,835 => 10,856명, +21명

(총 152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 (43일, 2차 증가기)

 

정말 오랫동안 2차 확산기가 진행중이고, 마치 짜기라도 한듯 전세계 최대치를 찍을 때, 한국도 2차 확산기 최대치를 찍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67일차.

(확진자: 142,595 => 176,559 / 사망자: 5,274 => 4,974)

최고점 갱신...진짜 입방정이 문젠가 싶을정도네요... 미국이 거의 3만명 가까이 확진자가 발생했고 정말로 2차 확산이 시작된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도 이슈가 많네요.

 

격리해제: 108,243 => 114,969

페루가 이탈리아를 넘어섰고 조만간 영국, 스페인을 넘어서겠네요.

프랑스는 어느새 15번째로 내려왔네요.

차이가 더 벌어져버렸습니다...

참고로 항상 저만의 예상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아주세요...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무의미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149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횡보 진행중 (38일)

 

우려했던 예상이 현실이 되어가고있는건 아닌가 싶네요... 

지금 상태에서 다시 증가하면 이전의 고점 마저도 뚫을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12,257 => 12,306명, +49명

사망자: 280 => 280, +0명

격리해제 10,800 => 10,835명, +35명

(총 151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 (42일, 2차 증가기)

 

확진자가 급격히 늘지는 않고 있지만. 좋지 않은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있어 걱정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66일차.

(확진자: 144,562 => 142,595 / 사망자: 6,928 => 5,274)

입방정을 떨어서 그런지, 좀처럼 고점에서내려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래프 상으로는 최고점이 갱신됐습니다. 다음주면 900만명을 돌파하겠네요...

 

격리해제: 93,464 => 108,243

 

기대만큼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있습니다.

참고로 항상 저만의 예상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아주세요...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무의미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148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횡보 진행중 (37일)

 

미국은 여전히 횡보 진행중입니다. 어떤 분들은 3만명이 넘어서면 재확산이 본격 시작된 것이다라고 하시는 분도 있더라고요. 저는 지금이 2차 확산이 시작된 것 같고 기존의 지역에선 감소하는데 새롭게 급증하는 확진자가 많아져서 횡보를 하고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진짜다시 3만명이 넘어선다면 그때는 정말 끝없는 나락으로 떨어질 것 같네요...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12,198 => 12,257명, +59명

사망자: 279 => 280, +1명

격리해제 10,774 => 10,800명, +26명

(총 150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 (41일, 2차 증가기)

 

확진자가 다시 오름 추세입니다. 어제 질본에서도 날씨와 관계없이 코로나 상황이 유지될 것이라고 했는데 걱정이네요...

사실 여름이 된다고 확진자가 확 줄거라고는 기대는 안했는데 전문기관에서도 저렇게 말을하니 힘이 빠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에 시장의 변동성이 심하다.

급락 급등이 심하다는 뜻이다.

그리고 하락과 상승의 이유가 뚜렷하지 못하다.

시장에 참여하는 개인들은 어디서든 이유를 붙여서 만들고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런 뉴스들을 보면서 최근에는 정말 이 이유가 맞을까 하는생각부터 든다.

이전에 경험들 그리고 최근에 얻은 경험들을 생각하면 맞지않다.

그리고 시장은 집단 지성이다. 이런 시장이 사소한 뉴스, 확인되지 않은 뉴스에 일희일비할 것 같진 않다.

 

지난 3월의 등락도 물론 코로나 바이러스가 영향이 없던 것은 아니지만 바이러스의 공포가 신용 경색을 일으켰기 때문에 급격한 하락을 만들어냈다.

이런 하락은 또 생길까? 현재 연준 그리고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부양책들을 펼치고있고 준비되어있기 때문에 이런 급락은 어렵다고 많은 사람들이 보고있다.

 

어쨋든 미국도 6월 11일 미 증시가 급락했다.

다우존스는 -6.9%, 나스닥은 -5.27%.

연준의 부양책

현재 연준은 부양책을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나눠서 시행하고있다.

첫째는 양적완화(QE), 불특정 다수에게 돈이 뿌려짐.

메커니즘(효과):

유통시장에서 연준이 국채 매입 => 주로 은행이나 투자기관으로 돈이 흐름 => 이익 발생을위해 투자

대신 돈은 위에서 아래로 흐름,

국채 => 회사채 => 주식(언텍트) => 하이일드채권 => 이머징시장 국채 => 이머징국가주식(ex. 삼성전자)

결국 돈이 넘쳐 미국에서 돌던 달러가 외부 유출까지 이어짐.

=>시장에서 가장 효과가 큼

 

그리고 두번째는 소위 말해 토탈케어(Total Care) 라고 불리는 방법이다.

토탈케어에는 집중타격, 정밀타격과 같다.

필요한 곳에 직접 지원을 하는 것.

 

토탈케어패키지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a. 중소기업대출 (0.95조 달러)

b. 지방정부채권 매입 (0.5조 달러)

c. 회사채매입 (0.75조 달러)

d. TALF (자산 유동화증권 매입) (0.1조 달러)

=> 2.3조 달러

근데 왜 떨어진거야?

그럼 이런 부양책들과 아직 대기중인 부양책들에도 불구하고 하락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코로나 바이러스 2차 확산 우려라는 단 한가지 이슈로 하락한 것은 아니라고한다.

이번 FOMC 때 파월 의장발언

- 2022년까지 제로금리 유지 발언

- QE는 현재 수준 유지 

 

1. QE 규모 축소

현재 무한 양적 완화를 지속하고있지만 이 무한이라는 것이 계속해서 무한정 달러공급을 한다는 뜻이 아니다.

연준은 급한대로 가장 돈을 많이 살포할 수 있는 QE를 3월부터 먼저 수행했다.

토탈케어의 정책들은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상황이 어느정도 정리 되었고, 연준이 시장이 안정화 되는데 필요한만큼의 규모로 달러를 공급하고 있고, 이 규모는 줄어서 현재 주 200억 달러 수준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필요하지 않는이상 연준은 이 규모를 늘리지 않는다고 했다.

=>유동성의 규모 축소 => 파월의 발언으로 크게 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확인

 

2. 토탈 케어

토탈 케어중에선 회사채 매입이 양적완화만큼의 효과가 있다 => 유사 질적 완화

CCF(Corporate Credit Facility) => 발행시장(Primary Market) + 유통시장(Secondary Market)

CCF(7500억 달러) => PMCCF (5000억 달러) + SMCCF (2500억 달러)

유통시장에 2500억 달러만큼 배정되어있다.

발표 3월초, 금액배정 4월초, 실제 수행 5월

현재  SMCCF만 55억 달러만 ETF로만 매입(ETF도 20%가 MAX & 개별회사채 매입X). PMCCF는 0달러 매입

=> 문제점 (FED자금 분배기능 미흡, 특정회사채 매입 기준이 없고 실제 수행자체에 어려움)이 있고 실제로 실행이 미흡

=> ETF매입은 20%만 가능, ETF 규모, 가장큰것이 500억달러 => 20%면 100억달러, 대기자금은 2500억달러, 기대치의 1/25 수준? 실제로 한 것은1/50 수준 => 실망

 

3. REPO 시장 금리 인상

결정타를 날린 것은 이것. FOMC 이후 목요일에 발표.

현재 FED가 REPO자금을 넣어주고있음.

1일 0.15%로 인상 (+0.05%)

1개월 0.2%로 인상 (+0.1%)

=> 레포로 자금조달 => 시장 투자인데

금리인상으로 시장에 악영향

위 세가지를 종합해서 고려했을때, 시장의 기대감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우려와 실망감으로 전환 => 큰 하락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