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세균의 기재부 질타

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12165461

 

"자영업 손실보상 저항 말라" 기재부 질타한 정세균

"자영업 손실보상 저항 말라" 기재부 질타한 정세균, 丁총리, 목소리 키우며 대선행보 김용범 차관, 법제화 난색에 丁총리 즉각 "개혁 저항" 규정 "이 나라가 기재부 나라냐" 호통 이낙연 "자영업

www.hankyung.com

정세균 국무총리가 21일 자영업 손실보상제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안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난색을 보여온 기획재정부는 정 총리가 강하게 압박하자 관련 논의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정 총리가 자영업 손실보상제를 이슈화해 차기 대권 주자로서의 존재감을 키우려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기재부 항복 받아낸 정세균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의 방역 기준을 따르느라 영업을 제대로 하지 못한 분들에게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제는 이를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때”라고 주문했다. 정 총리의 지침은 ‘공공 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는 헌법 제23조 3항에 근거하고 있다.
이에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손실보상제 제도화 논의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손실보상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상세히 검토해 국회 논의 과정에 임하겠다”며 “저희가 반대하고 그런 게 아니라 해외 제도를 소개한 것이 대외적으로 그렇게 비춰졌다”고 말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기재부는 손실보상제에 대해 “이를 법제화한 해외 사례를 찾기 어렵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냈다. 손실보상에 월 최대 24조원이 소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만큼, 이를 감당할 재원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정 총리는 기재부의 보고를 받고는 “이 나라가 기재부의 나라냐”며 격노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한 방송에 출연, “개혁 과정엔 항상 반대·저항 세력이 있지만 결국 사필귀정”이라며 기재부를 공개 질타했다.

여야, 법제화에 공감

기재부가 손실보상제 법제화 검토에 나서면서 관련 국회 논의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여야는 모두 코로나19로 인한 자영업자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한 상황이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손실보상제를 언급하며 “의원들께서 관련 법안 발의를 해주셨고 현재 정부와 보상근거 규정에 대한 법제화, 안정적인 보상 방법 등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정부 지침에 따라 영업을 못 하는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제도화하는 것은 정부와 국가의 기본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이날 한 방송 인터뷰에서 자영업자 손실보상법과 이익공유제 관련법, 사회연대기금 조성 관련법 등 ‘코로나 3법’을 2월 임시국회에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야당도 자영업자 손실 보상을 위한 재원 투입과 관련 제도 법제화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소상공인·자영업자 경제 손실 등을 어떻게 보상할지 검토할 시기”라며 “정부 재정을 적극적으로 투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에는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해 6월 국민의힘 의원 102명과 공동으로 발의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제출된 상태다.
전문가들은 손실보상제 법제화에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피해와 보상의 기준이 불분명하므로 제도화하면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막대한 재정이 투입되는 손실보상이 법제화되면 고질적인 재정 악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권 본격 시동 거는 정세균

정치권에서는 정 총리의 ‘손실보상제 법제화’ 움직임을 놓고 차기 대권 주자로서 존재감 부각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재명 경기지사의 기본소득처럼 정 총리가 국민적 관심이 큰 이슈를 집요하게 파고들어 자신의 브랜드를 구축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총리의 행보는 최근 이 지사와 여권 대권 주자 양강 체제를 구축했던 이낙연 민주당 대표가 주춤하는 가운데 민주당 내 3위 주자 경쟁이 치열해진 것과도 맞물린다. 민주당 관계자는 “그동안 유지됐던 양강 체제가 허물어지는 느낌”이라며 “이번 기회에 여권 주자 내 구도 개편이 일어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 총리에게 기대를 걸고 있는 당내 여론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소현/강진규 기자 alpha@hankyung.com

 

내용만봐도 갑과 을이 확실하다...

기사만 봐도 상대를 항복시키다... 설득도 아니고 항복...

여러분은 항복을 하고 싶어서 하시나요 혹시?

문제적인 부분은 여야가 모두 동의한다는 부분이다... 한통속이다 한통속...

우리나라의 정치는 쇼라는 것이 이런 부분에서부터 보인다.

손해 보상 법 제도화는 옳은가?

자영업자의 손해를 법적으로 보상하게끔 만드는 것이 과연 옳은가?

중소기업 대기업들은 자영업자와 다른가?

손해를 봐도 제도적으로, 법적으로 보상해준다면 참 좋을 것이다. 모두가 자영업자를 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셈이다. 왜냐면 내가 손해를봐도 이를 어느정도 보상해준다는 것이다 법적으로, 이런 법은 지금과같은 코로나 사태와 같을때는 순작용을 할 것이다. (솔직히 그것도 자영업자 입장에서나 순기능이지 납세자들 전체 입장에서 그럴까?) 하지만 이런 법이 만들어진 뒤에 코로나 사태가 지난다면? 분명 악용하는 사례가 나올 것이고 이런 법들이 줄줄이 사탕으로 제도화되지 말라는 법도없다. 기재부 차관 의견처럼 임시적으로 보상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없애는 것이 맞을 것이다. 왜그렇게 법으로 만들고 싶어하는 것일까? 주변에 챙겨줄 분들이 많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권리는 없지만 책임은 져라

참 웃기지 않는가? 마치 가정은 너가 책임은 져야하지만 권리는 없다? 이런식이다.

자기들이 원하는 방법에 반하면 그냥 찍어누르기 바쁘다...

권력이 균등하게 분배되지 못한게 벌써 본인들의 태도에 반영되어있다.

 

지금의 지원금 지원방식이 정말 해결책이 되고있다고 생각하는가?

100만원 정도 받아서 정말 자영업자들이 지원을 받았다고 할 수 있을까?

그 돈은 다 어디서 나올까?

저금리 대출을 지원해주면 그 돈은 공짜인가? 이자는 나라에서 지원해 줄 것인가?

 

자영업자는 돈을 못 버니 임대료를 낼 수 없다.

임대업자들은 임대료를 받지 못하니 세금을 낼 수 없다.

정부는 세금이 필요하다.

생산적인 부분은 틀어막고 막히고있는데 소비는 필요하다?

생산하는 방법을 배우고 마련해야하는 것 아닌가?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683986명 => 781814명 / 사망자: 17571명 => 17136명

역시 입방정 떨자마자 80만 가까이 다시 올랐습니다...

일단은 80만 위로 또 넘어가느냐 마느냐가 중요할 것 같네요.

 

격리해제: 577547명 => 617295명

격리해제도 소폭 증가했습니다.

 

오늘은 떨어졌던 만큼 다시 증가했습니다. 아직까진 횡보의 경계에서 계속 움직이고있습니다. 상당히 오래동안 횡보를 이어가고있습니다. 보통 3개월차가 되면 변화가 생기던데 1월말부터 2월초의 변화를 지켜봐야겠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67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36일)

 

오늘도 아슬아슬하게 20만 아래로 유지한 미국입니다. 주말사이의 확진자 수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3918명 => 74262명, +346명

사망자: 1316명 => 1328명, +12명

격리해제 60846명 => 61415명, +569명

 

 

 

 

(총 369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71일, 3차 확산)

 

오랜만에 300명대로 내려왔네요, 이제 300명이라고 안도하고 좋아하다니... 참 상황이 아이러니한 것 같습니다. 50명도 불안해하던 때가 있었는데 말이죠... 빨리 그때로라도 돌아가야할 것 같습니다.

사망자가 조금씩 줄어들고있는 것도 희소식입니다...

누적 치료 환자는 11519명입니다.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616604명 => 683986명 / 사망자: 16450명 => 17571명

확진자는 조금씩 늘어났습니다. 거의 70만까지 올랐네요.

 

격리해제: 643429명 => 577547명

격리해제는 조금 감소했고, 오늘은 확진자보다 낮게 나왔습니다.

원래 증가하면 감소하고 오르락내리락 반복하기 때문에 내일 다시 증가하는 것을 좀 기대해보겠습니다.

 

 

조금씩은 다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아직 높은 수치긴 하지만 몇 만명씩은 감소를 한 상태임을 확인이 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66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35일)

 

미국은 20만명 아래로 내려온지 4일정도 됐습니다. 다시 조금 올라가고는 있는데 20만 명 아래를 유지하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3518명 => 73918명, +401명

(왜 숫자가 안 맞을까요? 73919이여야 하는데 73918명이네요...?)

사망자: 1283명 => 1316명, +16명

격리해제 60180명 => 60846명, +666명

 

 

(총 368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70일, 3차 확산)

 

날짜계산을 잘 못한 것 같은데 조만간 다시 계산해서 리셋해야겠습니다.

현재 속도대로라면 내일이면 300명대로 진입이 가능할 것 같고 꾸준히 감소할 것 같습니다.

누적 확진 치료 환자도 11756명으로 12000명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523975명 => 616604명 / 사망자: 9634명 => 16450명

확진자는 아주 소폭 증가했고 사망자는 많이 증가했습니다. 그래도 엄청 높은 수치로 증가한 것이 아니라 다행이라고 생각됩니다. 2월이 되면 1억명을 돌파할 것 같습니다.

 

격리해제: 3459320명 => 643429명

이 얼마나 단비같은 소식인지 모르겠습니다. 3개월? 정도만에 격리해제가 확진자를 넘어섰습니다.

일단은 하락으로 이어질거라는 신호를 준 것 같은데요, 이전에도 있었지만 결국 하락으로 이어지진 못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신중히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확진자는 다시 증가하긴했지만 그래도 60만 초반에 머물렀고 언급했듯, 격리해제의 비중이 커지고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65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34일)

 

미국에 코로나가 상륙한지 1년이 되었네요. 미국은 오늘 새로운 대통령이 취임을하는데 좀 더 나은 한 해가 되려는지 새출발을 코로나 감소와 함께 시작할 것 같습니다. 우려한 것과는 다르게 미국 대통령 전환은 조용히 넘어가는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3115명 => 73518명, +404명

사망자: 1283명 => 1300명, +17명

격리해제 59468명 => 60180명, +712명

(총 367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69일, 3차 확산)

 

일단은 2차 확산기때의 고점보다 내려온 수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속도로 감소를 유지한다면 3~4월정도에 저점도달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봄까지 어떻게 보내느냐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완화되었는데 좀 줄어들었다고 방심하지말고 코로나가 해소될 때까지 다들 조심했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누적 치료 환자는 12038명입니다. 아직도 12000이 넘네요...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529014명 => 523975명 / 사망자: 8668명 => 9634명

확진자는 횡보, 사망자는 소폭 증가했습니다.

3일 연속 50만명대를 유지한 것으로보아 조만간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격리해제: 394076명 => 459320명

격리해제는 오늘도 증가해서 확진자와의 차이를 10만 이내로 좁혔습니다.

스페인이 좀 난리긴 해도, 미국 인도 브라질 전체적으로 많이 줄어든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꽤 많이 줄었음에도 50만이라 생각하니 그동안 얼마나 많은 학진자가 나왔는지 새삼 느껴지네요...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64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33일)

 

예상보다 빠르게 미국의 백신효과가 나고있는 것일가요? 거의 10만명 가량이 감소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정도 속도라면 백신의 효과가 생각보다 좋다는 이야긴데! 이런 긍정적인 상황이 계속 이어지면 좋겠네요.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2729명 => 73115명, +386명

사망자: 1264명 => 1283명, +19명

격리해제 58723명 => 59468명, +745명

(총 366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68일, 3차 확산)

 

오늘은 검사자가 다시 많이 늘었네요, 무슨 널뛰기도 아니고 주말이라서 줄었었나봅니다.

어쨋든 좋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좋은 신호인 것 같습니다.

현재 누적 치료 환자수는 12364명입니다.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507649명 => 529014명 / 사망자: 10412명 => 8668명

확진자가 일단은 50명대를 연일 이어가고있습니다. 사망자는 오히려 감소를했고 조금씩 감소하는 모습으로 전환이 된느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번주에 60~70만을 뚫을지를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격리해제: 291856명 => 394076명

오늘은 격리해제가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해서 10만 정도 수준으로 갭을 줄였습니다.

국가별 수치를 봐도 많이 줄었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도 20만 아래, 브라질도 2만정도 감소했고 유럽국가들도 각각 1만정도 감소했습니다. 혹시나 주말이라서 감소했을 수도있기 때문에 일단은 이번주 평일 더 지켜봐야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63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32일)

 

일단 주말이라서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지만 백신 효과가 나고있나(?) 하는 느낌을 주고있는 결과가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내일 모레 새 대통령 취임식이 있는데 과연 결과가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2340명 => 72729명, +389명

사망자: 1249명 => 1264명, +15명

격리해제 58253명 => 58723명, +470명

(총 365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67일, 3차 확산)

 

검사수에 대해 통계를 따로 정리하고있는데 왜 차이가 발생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숫자를 나중에 수정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은데 이럴거면 다음날 통계에 포함을 하던지 해야하는 것 아닌지... 왜 전일에 포함을 시키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국민들 목숨이 오고가는 내용인데 장난질하는 것은 아니길 바랍니다...

아무튼 사회적 거리두가 완화되면서 다시 검사수도 절반정도로 내려왔는데 우연의 일치겠죠?

오늘도 어쨋든 확진자가 더 적은 상태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안심할 수치는 아니라는 것... 무뎌지면 안됩니다.

현재 누적 치료 환자수는 12742명입니다.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