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6일차.

(확진자: 85,840 => 94,934  / 사망자: 7,234 => 7,011)

확진자가 급증했습니다. 거의 고점을 찍었을 때 수준이네요... 사망자는 더 늘진 않았지만 아직 고점에서 내려오는 추세라고 보긴 조금 어려운 것 같습니다. 다시 올라왔다고 봐야할지도...?

 

격리 해제: (26,067 => 19,847)

격리 해제 인원도 큰 변화는 없습니다. 오히려 줄어들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쪽은 Stay home (집에 있어라) 정책을 5/15일까지 연장했다고 합니다.

한달이나 남았네요. 그 때까지는 진짜 생존게임이 될 것 같습니다. 폭동이 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현재 미국에서만 사망자가 18,000명이 되었는데, 실제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발견도 못한 빈민층 사망자까지 포함한다면 30,000명이 넘을지도 모른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유럽쪽에서 스페인과 이탈리아가 비교적(?) 감소세를 보이고있는 반면에 영국 프랑스가 갑자기 확진자수가 급격하게 늘고있습니다.

그리고 터키도 만만치 않습니다. 유럽 전역이 비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브라질 캐나다도 매일 천명넘게 확진자가 나오고있는데 제 생각엔 키트가 없어서 확진자가 더 안 나오고 있는 것이짓 실제로는 더 심할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은 이제 17번째 아래로 내려와 18번째가 되었습니다.

전 세계 누적 추세 그래프만해도 살짝 완만하게 구브러지는 듯해 보인게 며칠 안된 것 같은데 다시 위로 상승하는 모양새로 돌아갔습니다.

못해도 현재의 추세가 다음주 까지는 이어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제 생각이지만 그 보다 더 길어지면 길어졌지 짧아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지금이 절반이라고 해도 일단은 7월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80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2 고점횡보 (8일) <=진행중, 예상보다 더 지속될 가능성 높아짐, 4/18 까지?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아직까지는 예상대로 진행중입니다.

3만명에서는 조금씩 내려오는 추세이기 때문에 다음주내로 는 하락추세로 접어들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현재 상황을보니 하락도 꾸준히 하기보단 하락 후 횡보를 반복하면서 내려올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조금 더 기간이 길어질 수도있다고 보입니다.

 

이탈리아 예상

(이탈리아 - 총 72일째)

1/31 시작

3/22 정점 (완료)

3/22~3/29 고점횡보 (8일)

3/29~현재 하락추세 (14일) <=진행중

한국보다 두배정도 진행됨

4/4 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4/4~5월 저점횡보

5월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6월쯤 천명 내외로 완만하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

이후 어느정도 안정된 상태에서 몇 차의  하락 및 안정기기가 추가적으로 더 필요함.

이탈리아는 위에 미국에서 말한것 처럼 하락추세이지만 완만하게 하락하고있습니다.

이탈리아도 역시 6월쯤 되어야 우리나라 수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450=> 10,480 +30명

사망자 증가. 208=>211, +3명

 

격리해제 7,117 => 7,243 , +126명

(총 82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 (2일, 2차 안정기)

일단 오늘도 30명 밑으로 확진자가 발생했기 때문에 2차 안정기에 돌입했다고 보겠습니다.

이제 10명 내외 수준이 되면 3차 안정기로 파악하면 될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2차 안정기에 빠르게 접어들었습니다.

이대로라면 5월 초에 확진자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치료에만 전념할 수 있는 상태로 돌입할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6일차.

(확진자: 87,174 => 85,840 / 사망자: 6,433 => 7,234)

제가 잡는 통계와 생각으론... 아직까진 고점에서 횡보중입니다...

 

격리 해제: (28,440 => 26,067)

격리 해제 인원도 횡보.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코로나19 흐름 예상해보기

오늘은 좀 다르게 접근해서 예상을 해보겠습니다.

 

비 과학적으로 접근해봤을 때, 희망적으로보면 4/30일경에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까요?

대충 저쯤 저점을 찍고 5~8월까지 진행되면 마무리가 될 수 있을지?

대한민국이 그나마 가장 정확하다고 가정하고 많이 진행됐으므로 기준으로 삼아 비교를해보면

미국은 6월이 되어야 현재 우리나라 수준이 된다?

오늘 한국이 27명 확진 => 미국은 일일 1000명대...?

아무튼 위처럼 비과학적으로 비교분석해보면 빠르면 5월, 늦으면 6월까지는 진행이 될 것 같습니다.

 

(미국 - 총 79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2 고점횡보 (7일) <=진행중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횡보기준이 길어지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423=> 10,450 +27명

사망자 증가. 204=>208, +4명

 

격리해제 6,973 => 7,117, +144명

(총 81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5일, 1차 안정기, 50명 미만 확진)

오늘은 확진자가 많이 줄었습니다, 아직까지는 더 지켜봐야할 것 같기때문에

1차 안정기 진행중으로 판단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5일차.

(확진자: 85,143 => 87,174 / 사망자: 7,376 => 6,433)

고점횡보 상태 5일차 입니다.

사망자는 그래도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격리 해제: (23,465 => 28,440)

격리해제도 꽤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긍정적인 신호가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78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2 고점횡보 (6일) <=진행중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다시 상승해서 일일 3만명으로 늘어났습니다. 기존의 핫존 외에도 확진자가 급증하는 추세가 보여서 걱정이네요...

 

브라질 예상

(브라질 - 총 44일째)

2/26 시작

4/1을 고점 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4/1~4/7 고점횡보 진행중?

4/7~4/13 하락추세 돌입?

4/13~5월 중순 하락횡보

6월 초 안정기 1차 안정기 돌입

이대로면 7월 안정화...

4/1~ (9일, 증가 진행중)

기존 예상을 엎고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384 => 10,423 +39명

사망자 증가. 200=>204, +4명

 

격리해제 6,776 => 6,973, +197명

(총 80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일, 1차 안정기, 50명 미만 확진)

1차 안정기 진행중!

 

일단은 주말까지 더 좋은 신호가 나오길 기대하며 관망해야겠습니다.

영국도 갑자기 확진자가 급증했고 캐나다도 위험해보입니다...

다들 몸조심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4일차.

(확진자: 72,701 => 85,143 / 사망자: 5,233 => 7,376)

고점횡보 상태 4일차 입니다.

어제 말한 것처럼 긍정적으로 보는게 맞는지 의문입니다.

저는 아직 그럴 단계는 아닌 것 같습니다. 한국만해도 아직 집단감염 사례가 또 나왔고...

일단은 더욱더 조심하고 지켜봐야할 단계입니다.

제가 정리하는 기준 시간이 달라서그런지 제가 정리하는 기준으론 오히려 어제보다 증가했습니다.

 

격리 해제: (13,997 => 23,465)

격리해제는 증가했습니다.

 

참 이런게 보면 통계라는게 보는관점에따라 달라진다는걸 느끼게 해줍니다.

어찌보면 감소하는 추세 어찌보면 횡보 추세...

일단은 막대그래프 흐름상으론 하락하는 모양새입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77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2 고점횡보 (5일) <=진행중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331 => 10,384 +53명

사망자 증가. 192=>200, +8명

 

격리해제 6,598 => 6,776, +82명

(총 79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3일, 1차 안정기, 50명 미만 확진)

1차 안정기 진행중!

일단 확진자가 53명으로 0명이 넘었지만 어느정도 50 내외 수준이라 안정기라고 생각하겠습니다.

 

무려 세댈째를 향해가고있습니다.

확진자가 속출한 2월 중순쯤부터 사투가 시작됐다고 생각하면,

그로부터 3달은 버텨내야할 것 같네요.

전 세계적으로 종식은 그로부터 2달은 더 지나야 선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7~8월 정도?

살면서 가장 길게 느껴지는 3개월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하락추세) 3일차.

(확진자: 70,346 => 72,701 / 사망자: 4,714 => 5,233)

고점횡보 상태 3일차 입니다. 사람들이 무뎌저 가는 것일까요? 아직 고점에서 그렇게 눈에 띄게 하락한 것도 아닌데 너무 긍정적으로만 생각해서 걱정입니다. 지금부터 한달가량은 정말 최대한 조심해야하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오늘 확진자 사망자 수만 봐도 어제보다는 다시 증가한 숫자입니다. 절대 감소폭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고점 횡보상태라는 점, 그리고 적어도 이번주까지는 이어질 것입니다.

 

격리 해제: (17,852 => 13,997)

오히려 격리해재 숫자가 줄었습니다.

격리해제는 일단 많으면 좋은건 그만큼 의료시설에 여유가 생기는 것이라 어쨋든 이 또한 중요한 수치입니다.

오랜만에 나라별 숫자를 보면 미국은 다시 3만명 가까이 늘었죠? 아직 감소 추세아니고 안심할 때가 아니라는 점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됩니다. 한구은 어느새 17번으로 내려왔습니다. 밑에 이스라엘의 증가추세가 무섭고 캐나다도 빠른속도로 증가하는 것이 보입니다.

비과학적 분석이었지만 어쨋든 제이피 모건의 정규분포도 모양새와 비슷하게 흘러가고는있습니다. 그래프만 보면 하락세이지만 한국처럼 감소하고잇는 나라들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입니다. 인구가 많은 메이져 국가들이 아직 고점이란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76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2 고점횡보 (4일) <=진행중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초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고점횡보추세를 이어가고있습니다.

 

이탈리아 예상

(이탈리아 - 총 68일째)

1/31 시작

3/22 정점 (완료)

3/22~3/29 고점횡보 (8일)

3/29~현재 하락추세 (10일) <=진행중

4/4 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4/4~5월 저점횡보

5월 중순 1차 안정기 돌입

2차 3차의 하락 및 안정기기가 추가적으로 더 필요함

하락추세가 예상보다 미미하기 때문에 기존의 예상이었던 6월이나 7월보다 더 길어질 수도 있을 것 같네요.

 

브라질 예상

(브라질 - 총 42일째)

2/26 시작

4/1을 고점 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4/1~4/7 고점횡보 (7일)

확진자 1,000명 밑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고점횡보를 완료했다고 생각하겠습니다.

한국보다는 빠르게 안정화가 되는 것인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일단은 예상했던대로 흘러가고있습니다.

4/7~4/13 하락추세 돌입?

4/13~5월 중순 하락횡보

6월 초 안정기 1차 안정기 돌입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284 => 10,331 +47명

사망자 증가. 186=>192, +6명

 

격리해제 6,463=>6,598, +135명

격리해제는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총 78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2일, 1차 안정기, 50명 미만 확진)

1차 안정기 진행중!

반응형
반응형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0040709248020151 

 

코로나19 치료 '램데시비르' 생산↑… 다음주 임상3상 발표 - 머니S

다국적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망 치료제 '램데시비르'...

moneys.mt.co.kr

가장 유력한 코로나 치료제의 결과는?

어제 언급된 구충제 이버멕틴을 포함하여 상당히 많은 약들이 치료제로 언급이 되고있는데 이중에 가장 유력한 후보인 길리어드사의 렘데시비르의 임상 3상 결과가 곧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있다. 빠르면 1~2주내로 발표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임상시험 레지스트리인 클리니컬트라이얼즈 기준으로 살펴보면 중증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의 결과가 지난 3일에 나왔으며, 경미 중증도 환자군을 대상으로 중간 결과는 오는 10일에 확인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연 렘데시비르는 효과적일가?

원래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로 사용되었던 렘데시비르에가 과연 제대로된 코로나바이러스의 체료제인가에 대한 의견도 학계에선 분분하다. 문제는 렘데시비르가 치료제 역할을 하더라도 항암제처럼 강력해서 몸에 부수적인 피해를 입히는 약이라 쉽게 사용하긴 어렵다는 이야기도 많아 걱정이된다.

 

어찌됐든 치료제가 나온다면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는 극복이 가능한 것이 되기 때문에 어찌됐든 하루라도 빨리 치료제가 나오는 것이 중요한 귀추로 예상된다.

 

타도 코비드19!

렘데시비르(REMDESIVIR)?

https://www.acs.org/content/acs/en/molecule-of-the-week/archive/r/remdesivir.html

 

Remdesivir - American Chemical Society

American Chemical Society: Chemistry for Life.

www.acs.org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