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www.statnews.com/2020/04/16/early-peek-at-data-on-gilead-coronavirus-drug-suggests-patients-are-responding-to-treatment/ 

 

Gilead data suggests coronavirus patients are responding to treatment

The outcomes in patients at a Chicago hospital offer only a snapshot of remdesivir’s effectiveness, but are the first clinical data to surface to date.

www.statnews.com

https://www.news1.kr/articles/?3909929

 

'렘데시비르' 효과 입증에 주가·선물 폭등(종합)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렘데시비르, 실제 환자 투여 결과 긍정적


각 임상 실험실에서 렘데시비르에 대한 실험을 진행중인 가운데, 계속해서 렘데시비르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이 뉴스가 발표중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의료진, 코로나19 환자 53명(최초 투약 61명, 8명은 데이터 부족 또는 오류로 분석에서 제외) 투약 임상결과 논문 NEJM에 공개했으나, 이는 공식 임상 연구가 아닌 만큼 결과에 대한 해석의 여지는 남아 있다고 한다.

증상 개선의 비중이 68%, 완치 비율이 47%로 치료 효과에 대한 가능성은 확인!

길리어드가 진행 중인 글로벌 임상 기관 중 시카고 소재 병원에서 113명의 중증 환자 대상 렘데시비르 투여 결과 대부분의 환자가 치료 효과 나타났고, 이로 인해 퇴원했다고 발표(시간 외 거래서 길리어드 주가 16% 상승)
그러나 이는 길리어드의 공식적이 실험이 아니기 때문에 ‘정성적’ 데이터일뿐 수치상 확인된 것은 없다고 한다...

길리어드에 따르면 렘데시비르 관련 중증 환자 대상 400명 연구 데이터는 조만간 발표될 것이라고 언급(4월 중 발표)

 

코로나바이러스로인해 전 세계에 여파가 점점 커지는 가운데 렘데시비르와 같은 치료제들의 효과가 하루 빨리 입증되서 치료제가 보급되길... 자유롭게 돌아다니고 싶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11일차.

(확진자: 56,763 => 98,766  / 사망자: 5,504 => 10,892)

다시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한 추세입니다. 무려 2만명가량 늘었네요.

미국도 3만명이 넘었고 프랑스가 눈에 띄게 확진자가 급증했습니다 (1만명이 넘었네요)

몰아서 통계를 늦게 낸 것 일까요???

이러다 미국이 문제가 아니라 유럽발 위기가 오는 것은 아닌지 걱정입니다.

코로나 이후 유럽국가들의 아시안 혐오도 걱정이 됩니다...

 

격리 해제: (17,434 => 36,870)

역시 격리 해제 인원도 많이 늘었습니다.

 

 

보시다시피 전세계는 횡보중입니다.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명확하게 옆으로만 흐르는 모습이 명확해지네요.

아무래도 늦게 시작한 국가들이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먼저 발생한 국가들의 상황이 많이 나아지지 않는 것도 한 몫 하는 것 같네요.

 

 

미국 예상

 

 

(미국 - 총 86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8 고점횡보 (14일) <=진행중, (예상)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내일까지 고점횡보로 예상했는데 내일 숫자가 7만명 초반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주말사이 7만 밑으로 내려오지 못하면 예상보다 더 길어질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613=> 10,635 +22명

사망자 증가. 229 =>230, +1명

격리해제 7,757 => 7,829, +72명

 

 

(총 87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 (8일, 2차 안정기)

반응형
반응형

트럼프 대통령 "5월, 미국 경제 재개"

https://www.investing.com/news/economy/trump-to-push-for-reopening-us-as-millions-more-seek-unemployment-aid-2142080

불러오는 중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미국의 경제가 둔화를 넘어 마비를 이어감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경제 활동 재개안을 내놨다.

(아래 링크 참조)

https://www.washingtonpost.com/context/focus-on-the-future-going-to-work-for-america/89ccccbc-7bf0-48d3-8f0c-275494a3b009/

불러오는 중입니다...

주요 골자 내용을 보면,

현재 실업자가 너무 많이 증가하고있고 이대로 가다간 경제 마비를 넘어 붕괴가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방책으로 경제 재개를 강행한다는 내용이다.

5월 1일, 1단계를 시작으로 단계별로 내용이 나눠져있고.

일단 경제 활동을 재개한 뒤, 다시 바이러스가 부득이 창궐하면 락다운을 시행한다는 것이다.

너무 이른 경제활동 재개, 가능할까?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5월부터 경제활동을 재개하는 것이 과연 옳은 판단인가 이다.

치료제가 나온다면 모를까 결국 집단 면역을 믿고 가자는 것과 같다.

현재 중국의 정확한 상황은 모르겠지만 다시 코로나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움직임들이보이는 것으로보아 너무 시기상조가 아닌가 싶다. 어느정도 안정기에 접어들고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는 선에서 주 별로 재개를 하는게 맞다고 생각되는데.

현재의 경제마비가 가져올 더 큰 충격을 막기위해 재개하려는 모양이다...

 

필자가 일일단위로 기록하는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그리고 예상치만봐도 5월은 너무 이르다는 판단이다.

물론 정상 상태의 경제활동 인구가 통제된 동선으로만 이동하고 철저한 일일 검사 시행만 단순하게 한다면 어느정도 시행이 가능한 것은 맞지만 과연 그만큼 통제가 가능하냐는 것이 의문이다. 그리고 재개하기엔 아직 얼마나 밖에 무증상 환자들이 있는지도 모르기때문에 어느정도 하락세에 접어든 것이 아니라면 시기상조라고 판단된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오늘은 조금 늦게 올리게되어서 좀 애매할지도 모르겠네요 어쨋든 흐름은 계속 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날 결과도 같이 고려해서 보시면될 것 같습니다.

낮에 확인했을때는 얼추 7만명 정도였습니다. 횡보라고 보시면될 것같네요 아마 내일 제가 정리할때는 4~5만이 나오면 횡보라고 보면 되고 그 이하면 하락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늦은관계로 간단하게 숫자만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오늘은 조금 늦게 올리게되어서 좀 애매할지도 모르겠네요 어쨋든 흐름은 계속 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날 결과도 같이 고려해서 보시면될 것 같습니다.

낮에 확인했을때는 얼추 7만명 정도였습니다. 횡보라고 보시면될 것같네요 아마 내일 제가 정리할때는 4~5만이 나오면 횡보라고 보면 되고 그 이하면 하락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확진자 고점 횡보 9일차.

(확진자: 72,026 => 101,381 / 사망자: 5,439 => 9,405 )

 

격리 해제: (21,452 => 47,890 )

그래프만보면 일단은 횡보상태인 것 같네요...

미국 예상

(미국 - 총 84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8 고점횡보 (12일) <=진행중, (예상)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미국은 일단 일 확진자 25,000명 이하로 내려가기시작하면 하락중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564=> 10,591 +27명

사망자 증가. 222=>225, +3명

격리해제 7,534 => 7,616, +82명

(총 85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 (6일, 2차 안정기)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어쨋든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됐네요...

이번주는 희소식이 많기를 기대하겠습니다.

확진자 고점 횡보 8일차.

(확진자: 72,711 => 72,026 / 사망자: 5,412 => 5,439 )

제가 생각하기엔 아직 고점에서 횡보 중이고, 정점이 지났다고 해결된 문제도 아닌데 걱정입니다.

 

격리 해제: (19,575 => 21,452 )

 

아래는 제가 정리한 통계입니다,

아직 7만 이상에서 횡보중입니다.

이번주 말까지 5만대로 내려오면 좋을텐데...

미국 예상

(미국 - 총 83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8 고점횡보 (11일) <=진행중, (예상)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따지고보면 이미 고점을 지난 것은 지난주인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인데, 주지사나 트럼프가 말을 했다는게 큰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아직 한 달 가량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말이죠...

 

이탈리아 예상

(이탈리아 - 총 75일째)

1/31 시작

3/22 정점 (완료)

3/22~3/29 고점횡보 (8일)

3/29~현재 하락추세 (17일) <=진행중

한국보다 두배정도 진행됨

4/4 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4/4~5월 저점횡보

5월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6월쯤 천명 내외로 완만하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

 

이탈리아는 하락후 횡보라기보단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로 진행되는 모양입니다.

그래도 해결되는 시기는 어느정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537=> 10,564 +27명

사망자 증가. 217=>222, +5명

격리해제 7,447 => 7,534 , +87명

(총 84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 (5일, 2차 안정기)

 

어느덧 4달째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3개월 조금 지나서 해결되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7일차.

(확진자: 94,934 => 80,544  / 사망자: 7,011 =>6,092 )

 

격리 해제: (19,847 => 27,499)

 

하락세라고 판단했었지만 다시 7만~10만명 사이에서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있는 것으로보아 고점횡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당일엔 좀 낮게 잡히는 경향이 있는데 다음날 보면 수치가 다시 올라가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까진 평균 8만명 대에서 횡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81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8 고점횡보 (9일) <=진행중, (예상)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아직까지는 예상대로 진행중입니다.

어제 말 한 것처럼 조금더 지연될 것같습니다.

 

이탈리아 예상

(이탈리아 - 총 73일째)

1/31 시작

3/22 정점 (완료)

3/22~3/29 고점횡보 (8일)

3/29~현재 하락추세 (15일) <=진행중

한국보다 두배정도 진행됨

4/4 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4/4~5월 저점횡보

5월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6월쯤 천명 내외로 완만하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

하락추세라곤 했지만 하락이 소폭 이루어진 채로 횡보하고있는 추세입니다.

사망자가 줄어드는 것에 희망을 가져야할지...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480=> 10,512 +32명

사망자 증가. 211=>214, +3명

 

격리해제 7,243 => 7,368 , +125명

(총 82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 (3일, 2차 안정기)

 

2차 안정기 진행중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