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611098명 => 594656명 / 사망자: 17165명 => 16582명

오늘도 횡보 추세입니다. 3일정도 큰 변화없이 보내네요.

 

격리해제: 483498명 => 537053명

격리해제도 확진자와 근소한 차이를 유지하며 횡보를 하고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74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43일)

 

오늘은 좀 증가했지만 아직까진  20만 아래를 유지중입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6926명 => 77395명, +469명

사망자: 1386명 => 1399명, +13명

격리해제 66016명 => 66503명, +487명

(총 376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78일, 3차 확산)

 

한국도 전체적인 흐름과 비슷한 상태인 것 같습니다. 간당간당하지만 500명 아래를 유지중입니다. 격리해제와 격차가 좀 줄어서 아쉽고 사망자도 다시 늘어서 10명 이상이 된 점도 좀 아쉽습니다.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540761명 => 611098명 / 사망자: 17535명 => 17165명

이번주는 70만명 아래를 유지되었으면 합니다.

사망자가 좀 줄어들었으면 하는데 아직 기미도 없는 것 같아 아쉽네요.

 

격리해제: 547591명 => 483498명

오늘은 격리해제가 좀 감소하면서 확진자와 차이가 조금 납니다. 하지만 이전보다는 확실히 나아진 것 같습니다.

상위 국가들중에 브라질이 좀처럼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있습니다.

브라질 상태를 보면 아직 한방 더 크게 남은 것 같기도하고... 좀처럼 갈피를 잡기 힘든 흐름인 것 같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73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42일)

 

20만 아래로 유지된지 11일째입니다. 다음주는 10만 아래도 노려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5429명 => 76926명, +497명

사망자: 1378명 => 1386명, +8명

격리해제 65478명 => 66016명, +538명

(총 375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77일, 3차 확산)

 

한국은 큰 변화는 없이 며칠째 비슷한 상태로 유지중입니다.

이번달 말까지 현재 거리두기 단계 유지인데 2월에는 좀 완화가 될지 봐야겠습니다.

현재 누적 치료 환자는 9524명입니다. 많이 줄기는 했지만 아직도 갈길이 먼 것 같습니다.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512514명 => 540761명 / 사망자: 10513명 => 17535명

사망자만 상당히 증가하고 확진자와 격리해제는 거의 변함 없이 횡보하고있습니다.

 

격리해제: 549240명 => 547591명

미약하지만 오늘도 격리해제가 확진자를 앞섰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72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41일)

 

일단은 미국도 예상했던 흐름을 따라 이동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5875명 => 75429명, +559명

사망자: 1371명 => 1378명, +7명

격리해제 64793명 => 65478명, +685명

 

(총 374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76일, 3차 확산)

 

계속해서 격리해제가 확진자를 넘는 좋은 흐름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아쉽게 확진자 가 다시 500명을 넘었지만 그래도 사망자가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줘서 상쇄시켜준 것 같습니다.

현재 누적 치료 환자 9573명 입니다.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340743명 => 512514명 / 사망자: 6571명 => 10513명

예상했던데로 오늘 1억명을 넘어섰습니다.

우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공식적으로 퍼지기 시작한지 약 1년이 조금 넘어서 1억명의 확진자를 만들었는데요... 최악의 경우 올해도 작년과 같이 보내야 한다 가정을 한다면 2억명도 헛된 소리는 아닐 것 같습니다...

일단은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 같이 힘쓰고 버텨야 하고요. 그야말로 존버의 시대에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많이 내려간 확진자와 사망자는 그에대한 반등으로 오늘은 다시 상승했습니다.

 

격리해제: 246116명 => 549240명

그리고 역시 하락세가 맞다- 라고 생각이 되는게 다시 격리해제가 확진자를 넘어섰습니다.

물론 이전에도 이런 패턴을 보이다 다시 급상승하곤 했지만... 전체적인 그래프의 흐름을 봤을때 이제는 정말 내려오는 것이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횡보한 기간도 이전보다는 좀 길고, 하락세도 이전보다는 더 강하게 나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또 그래프를보니 이전에도 7~9월까지 횡보기간이 상당히 길었었고 그 이후에 급상승했네요... 일단은 더 신중히 지켜봐야 할 시기인 것 같습니다...

 

 

특정 국가가 급증해서 다시 늘어났다기 보단 전체적으로 다시 증가해서 총 확진자가 늘었다고 보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71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40일)

 

불안해 보이지만 일단은 20만명 아래로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단은 현재 첫째 목표는 백신 보급 투여의 원활한 진행과 10만명 이하로 확진자가 내려오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5521명 => 75875명, +354명

사망자: 1360명 => 1371명, +11명

격리해제 62956명 => 64793명, +1837명

 

 

 

 

(총 373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75일, 3차 확산)

 

오늘은 굉장히 긍정적인 수치가 나왔습니다. 격리해제가 무려 1837명!! 검사수도 나쁘지 않고, 매일 이정도라면 백신 보급이 되기 전에 상황이 많이 좋아져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사망자만 최소한으로 발생되길 바래야겠네요... 10명대도 여전히 많은 것 같고 이대로면 1500명도 금방 돌파하고 3차 수정을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현재 누적 치료 환자는 9711명이 되어서 1만명 아래로 오랜만에 내려오게 되었습니다.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모두 저만의 의견이고 예상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상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573260명 => 340743명 / 사망자: 13529명 => 6571명

기대하던대로 80만을 넘지 못하고 내려오면서 오늘은 아예 30만명대를 기록했습니다.사망자도 절반수준으로 내려왔고 이번주부터 하락의 흐름을 타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격리해제: 437292명 => 246116명

격리해제도 확진자와 비슷하게 내려왔지만 차이가 10만 이내로 들어왔습니다.

 

미국도 유럽도 남미도 꽤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1만 내외로 내려오는 것 같습니다.

전체 수치가 20만 아래로 내려오면 전세계적으로 본격 하락세에 돌입했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아쉬운 부분은 내일이면 전세계 확진자가 1억명이 넘을 것 같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초반에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수치가 관대하게 잡았던 수치었다고 생각이 되네요... 이대로 이어지면 전세계 확진자 1억 5천만명 정도로 마무리 되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미국 현황

 

 

(미국 - 총 370일째)

1/23 시작

1/23~4/10 확산기 (79일)

4/10 정점 

4/11~5/12 고점으로부터 하락 (32일)

5/13~ 6/16 횡보 (35일)

6/17~7/23 2차 상승 (38일)

7/24~9/8 2차 하락기(47일)

9/9~ 3차 상승기 (139일)

 

미국도 주말사이에 꽤 내려와서 조만간 10만 이내 진입도 가능할 것 처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래도 이전 흐름을 보면 곧바로 10만 아래로 내려간다고 보기보단 다시 조금 반등해서 15만 밑으로 유지하다 내려가면서 10만 아래로 내려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확진자: 75084명 => 75521명, +437명

사망자: 1349명 => 1360명, +11명

격리해제 62530명 => 62956명, +426명

 

 

(총 372일째)

1/21 시작

1/21~2/29 확산기 (40일)

2/29 정점

3/1~3/9 고점하락 (9일)

3/10~4/5 저점횡보 (27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9일)

4/19~5/8 3차 안정기 (20일)

5/9~9/29 (144일, 2차 확산/하락)

9/30~11/12 (44일, 횡보)

11/13~ (74일, 3차 확산)

 

한국은 하락세가 주춤하기 시작했습니다. 짧게는 1주, 길게는 2주정도 횡보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검사수는 또 하락했네요, 일단 주말마다 감소를 하기때문에 며칠 더 지켜봐야할 부분입니다.

주말간에는 확진자보다 격리해제가 더 많았는데 오늘은 아쉽게 확진자가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현재 누적 치료 환자는 11205명입니다. 아직 1만 밑으로 내려오진 못했네요...

 

(내년 2분기 까지 저의 예상: 확진자 80000명 이상, 사망자 1500명 이상)

반응형
반응형

정세균의 기재부 질타

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12165461

 

"자영업 손실보상 저항 말라" 기재부 질타한 정세균

"자영업 손실보상 저항 말라" 기재부 질타한 정세균, 丁총리, 목소리 키우며 대선행보 김용범 차관, 법제화 난색에 丁총리 즉각 "개혁 저항" 규정 "이 나라가 기재부 나라냐" 호통 이낙연 "자영업

www.hankyung.com

정세균 국무총리가 21일 자영업 손실보상제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안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난색을 보여온 기획재정부는 정 총리가 강하게 압박하자 관련 논의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정 총리가 자영업 손실보상제를 이슈화해 차기 대권 주자로서의 존재감을 키우려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기재부 항복 받아낸 정세균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의 방역 기준을 따르느라 영업을 제대로 하지 못한 분들에게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제는 이를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때”라고 주문했다. 정 총리의 지침은 ‘공공 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는 헌법 제23조 3항에 근거하고 있다.
이에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손실보상제 제도화 논의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손실보상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상세히 검토해 국회 논의 과정에 임하겠다”며 “저희가 반대하고 그런 게 아니라 해외 제도를 소개한 것이 대외적으로 그렇게 비춰졌다”고 말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기재부는 손실보상제에 대해 “이를 법제화한 해외 사례를 찾기 어렵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냈다. 손실보상에 월 최대 24조원이 소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만큼, 이를 감당할 재원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정 총리는 기재부의 보고를 받고는 “이 나라가 기재부의 나라냐”며 격노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한 방송에 출연, “개혁 과정엔 항상 반대·저항 세력이 있지만 결국 사필귀정”이라며 기재부를 공개 질타했다.

여야, 법제화에 공감

기재부가 손실보상제 법제화 검토에 나서면서 관련 국회 논의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여야는 모두 코로나19로 인한 자영업자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한 상황이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손실보상제를 언급하며 “의원들께서 관련 법안 발의를 해주셨고 현재 정부와 보상근거 규정에 대한 법제화, 안정적인 보상 방법 등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정부 지침에 따라 영업을 못 하는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제도화하는 것은 정부와 국가의 기본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이날 한 방송 인터뷰에서 자영업자 손실보상법과 이익공유제 관련법, 사회연대기금 조성 관련법 등 ‘코로나 3법’을 2월 임시국회에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야당도 자영업자 손실 보상을 위한 재원 투입과 관련 제도 법제화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소상공인·자영업자 경제 손실 등을 어떻게 보상할지 검토할 시기”라며 “정부 재정을 적극적으로 투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에는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해 6월 국민의힘 의원 102명과 공동으로 발의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제출된 상태다.
전문가들은 손실보상제 법제화에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피해와 보상의 기준이 불분명하므로 제도화하면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막대한 재정이 투입되는 손실보상이 법제화되면 고질적인 재정 악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권 본격 시동 거는 정세균

정치권에서는 정 총리의 ‘손실보상제 법제화’ 움직임을 놓고 차기 대권 주자로서 존재감 부각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재명 경기지사의 기본소득처럼 정 총리가 국민적 관심이 큰 이슈를 집요하게 파고들어 자신의 브랜드를 구축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총리의 행보는 최근 이 지사와 여권 대권 주자 양강 체제를 구축했던 이낙연 민주당 대표가 주춤하는 가운데 민주당 내 3위 주자 경쟁이 치열해진 것과도 맞물린다. 민주당 관계자는 “그동안 유지됐던 양강 체제가 허물어지는 느낌”이라며 “이번 기회에 여권 주자 내 구도 개편이 일어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 총리에게 기대를 걸고 있는 당내 여론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소현/강진규 기자 alpha@hankyung.com

 

내용만봐도 갑과 을이 확실하다...

기사만 봐도 상대를 항복시키다... 설득도 아니고 항복...

여러분은 항복을 하고 싶어서 하시나요 혹시?

문제적인 부분은 여야가 모두 동의한다는 부분이다... 한통속이다 한통속...

우리나라의 정치는 쇼라는 것이 이런 부분에서부터 보인다.

손해 보상 법 제도화는 옳은가?

자영업자의 손해를 법적으로 보상하게끔 만드는 것이 과연 옳은가?

중소기업 대기업들은 자영업자와 다른가?

손해를 봐도 제도적으로, 법적으로 보상해준다면 참 좋을 것이다. 모두가 자영업자를 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셈이다. 왜냐면 내가 손해를봐도 이를 어느정도 보상해준다는 것이다 법적으로, 이런 법은 지금과같은 코로나 사태와 같을때는 순작용을 할 것이다. (솔직히 그것도 자영업자 입장에서나 순기능이지 납세자들 전체 입장에서 그럴까?) 하지만 이런 법이 만들어진 뒤에 코로나 사태가 지난다면? 분명 악용하는 사례가 나올 것이고 이런 법들이 줄줄이 사탕으로 제도화되지 말라는 법도없다. 기재부 차관 의견처럼 임시적으로 보상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없애는 것이 맞을 것이다. 왜그렇게 법으로 만들고 싶어하는 것일까? 주변에 챙겨줄 분들이 많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권리는 없지만 책임은 져라

참 웃기지 않는가? 마치 가정은 너가 책임은 져야하지만 권리는 없다? 이런식이다.

자기들이 원하는 방법에 반하면 그냥 찍어누르기 바쁘다...

권력이 균등하게 분배되지 못한게 벌써 본인들의 태도에 반영되어있다.

 

지금의 지원금 지원방식이 정말 해결책이 되고있다고 생각하는가?

100만원 정도 받아서 정말 자영업자들이 지원을 받았다고 할 수 있을까?

그 돈은 다 어디서 나올까?

저금리 대출을 지원해주면 그 돈은 공짜인가? 이자는 나라에서 지원해 줄 것인가?

 

자영업자는 돈을 못 버니 임대료를 낼 수 없다.

임대업자들은 임대료를 받지 못하니 세금을 낼 수 없다.

정부는 세금이 필요하다.

생산적인 부분은 틀어막고 막히고있는데 소비는 필요하다?

생산하는 방법을 배우고 마련해야하는 것 아닌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