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1510328

 

[2보] 2월 산업생산 3.5%↓…코로나19로 소비·투자도 '트리플 감소'

'구제역 파동' 2011년 이후 산업생산·소비 최대폭 감소 설비투자 4.8%↓·건설기성 3.4%↓… 동행 순환변동치 0.7p↓ 11년1개월래 최대폭 (세종=연합뉴스) 김연정 김경윤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news.naver.com

코로나 여파로 경제 둔화가 지속되고있는 상황이다. 

현재 2011년 구제역 파동 이후 산업생산·소비 최대폭 감소라고 하는데...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PG)[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2월 전(全)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3.5% 감소

(급갑의 가장큰 원인으론 광공업생산이 3.8% 감소 / 자동차 생산이 27.8% 급감한 영향이 크다고 분석)

 

서비스업 생산도 3.5% 감소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6.0% 감소 
설비투자는 전월대비 4.8% 감소

건설기성도 3.4% 감소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전월대비 0.7포인트 하락

현재의 실물경제가는 뉴스처럼 트리플감소가 생겨나고 있는데 각 국의 정부들의 정책은 무한정 공급으로 방향을 잡았다. 초인플레이션과 VS 디플레이션의 구도인데 어느 방향도 좋아보이질 않는다...

반응형
반응형

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C%9D%B8%ED%94%8C%EB%A0%88%EC%9D%B4%EC%85%98

 

초인플레이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르헨티나의 초 인플레이션 초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이란 경제학적으로 물가상승이 통제를 벗어난 상태로서 수백퍼센트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하는 상황을 말하며, 이의 원인은 전쟁이나 경제불안 등으로 인한 재화와 서비스의 희소성이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정부가 이를 통제하지 못하고 계속된 화폐발행을 실행할 때 나타난다. 각국의 초인플레이션[편집] 초인플레이션은 여러 시대에 걸쳐 등장하였으며, 최근까지도 남미등에

ko.wikipedia.org

https://en.wikipedia.org/wiki/Hyperinflation

 

Hyperinflatio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Rapidly accelerating inflation In economics, hyperinflation is very high and typically accelerating inflation. It quickly erodes the real value of the local currency, as the prices of

en.wikipedia.org

하이퍼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사전적 의미로 팽창, 부풀리기라 불린다.

통화에서는 아예 '통화 팽창' 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그럼 이런 통화팽창이 '극대화'된다면 어떻게 될까?

 

물가 상승이 통제 불가의 상태에 다다르고, 재화와 서비스의  희소성이 증가하며 가격이 상승하고, 정부가 이를 통제하지 못하고 계속된 화폐발행을 실행하는 상태를 말한다.

 

화폐를 계속해서 발행한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화폐를 계속해서 발행하면 그 가치는 떨어진다.

지금 100원이 초인플레이션 상태에선 똑같은 100원의 가치를 갖지 못하는 것이다.

 

물가가 급등한다는 얘기다, 미친듯이 상승...

예를들면 이전에 500원하던 과자가 5,000원이 될 수도 있고

짜장면을 50,000원에 사먹는 상황이 온다는 얘기다.

 

이게 어짜피 화폐가치가 그만큼 오르면 상관없는거 아냐? 이렇게 생각할수도 있지만.

생각해보면 이전에 쌓아놓은 내 자산의 가치가 폭락해버리는 것과 같다.

한마디로 이 종이 지폐는 그냥 종이가 되는 것... 더러워져서 휴지만도 못한 종이가 되는거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정의 그리고 효과

1956년 미국의 경제학자인 필립 케이건(Phillip Cagan)이 정의한 바로는 

월 물가 상승률이 50%가 넘는 상황을 초인플레이션 상황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월 물가상승률이 50% 미만에서 최소 1년 이상 지속된다면 초인플레이션 상황의 종료로 정의했다.

 

초인플레이션의 효과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초인플레이션은 현재의 예금과 저축 등의 가치를 완전히 떨어트린다. 의미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따라러 화폐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환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공용 화폐보다는 실물 자산으로 이동된다. 예를들면 금과 은

그리고 세금을 징수하는 것 또한 의미없는 행위가 된다.

투자 또한 무의미해진다.

초인플레이션은 이전에 없었나?

그럼 이 경제 파탄의 상태인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이전에 없었나?

아니다, 예전에도 그리고 지금 현재에도 세계 어딘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이다.

최근에는 아르헨티나와 베네수엘라에서도 발생한 사례이다.

(근래 경제 뉴스를 보면 베네수엘라에대한 언급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해외에선 대한민국이 언급되는 날이 오지않길 간절히 기도한다...)

 

링크의 위키피디아를 보면 알 수 있듯 이전에 유럽에서도 발생했던 적이있다.

전쟁 이후 혼란한 상황에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인데...

계속되는 물가 상승을 막기위해 정부는 높은 단위의 화폐를 계속해서 발행하게되는데

 

독일의경우 100조 마르크를 발행, 헝가리는 2양 펭궤를 발행...(양이라니... 참으로 생소한 단위다.)

브라질은 2740%, 아르헨티나는 2315%의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는다.

짜장면 5만원은 우수운 정도인 것이다. 아르헨티나로 친다면 10만원짜리 짜장면이 된다는 것인데...

짐바브웨의경우 2억%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통화개혁을 시도했으나 이 또한 실패하여 결국 통화를 달러로 사용하기로한다...

 

그리고 가장 최근의 사례인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의 초인플레이션은 지금까지 이어지고있다.

표에 따르면 베네수엘라에서 현재의 가치가 100%에서 10%까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은 1년이 채 걸리지 않는다고한다. 저축에 의미가있을까?(소문에 의하면 엄청난 가난 때문에 쓰레기통을 뒤져서 쓰레기까지 먹고있다는데...)

위 그래프는 베네수엘라에서의 달러 가치이다. 2020년 3월 베네수엘라의 화폐와 미달러의 가치는 1$ =10000BsS인데

1BsS = 1,000,000BsF 정도이다.

즉 현재의 베네수엘라의 화폐는 정상상태일 때보다 1/1,000,000,000의 가치를 갖게된 것이다. 약 8년 동안 벌어진 일이고 현재진행형이다...그리고 표에서 보면 알다시피 물가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그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어떻게 탈출하나?

하이퍼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다소 극단적인 처방법이 필요하다고한다.

그리고 한 가지 방법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다른 여러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들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독일이 이에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1. 화폐개혁

새로운 화폐를 발행하고 현재의 팽창된 화폐가치를 내렸다. 1조 구마르크 : 1 렌텐마르크(신화폐)로 교환하여 터무니 없이 숫자만 큰 화폐를 과감하게 없앴다. 그리고 화폐를 일정량 이상 발행하지 않아야 한다.

 

2. 정부의 지출감소, 증세

국민의 희생이 필요하겠지만 세금을 큰 양으로 걷어 정부의 지출과 채무를 줄여나가야 합니다. 애초의 국가의 초인플레이션 자체가 적자(경제위기)에서 오기 때문에 이 적자를 극복하기 위해선 정부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또한 세금을 늘려 적자운영에서 벗어나야합니다.

 

3. 기타

독일의 경우 전쟁 배상금을 경감시켰고 외교적 성과로 빼앗겼던 영토를 돌려받았습니다.

"외교"라는 부분이 큰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이런 상황이 생긴다면 외교로 무역을통한 지출을 감소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예를들면 관세절감, 무역협정)이 있겠네요.

 

마냥 통화를 계속해서 찍어내서 공급한다거나 더 높은가치의 화폐를 찍어내는 것은 절대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은 역사가 알려주고있다. (그럼에도 정부들이 동일한 방법을 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니면 위에서 언급한 에콰도르처럼 아예 현재의 자국 통화를 포기하고 기축통화로 갈아타는 방법 또한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혼란 야기와 이를 정리하기 위해 처리해야 할 일들이 많아질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investing.com/news/commodities-news/crude-oil-futures-drop-at-open-on-grim-demand-outlook-2124713

 

U.S. crude dips below $20 as lockdowns hit demand

U.S. crude dips below $20 as lockdowns hit demand

www.investing.com

코로나바이러스로인한 국가내/외 이동 제재로 유가 20달러 밑으로 하락

최근 동향을 꾸준히 지켜보는 분들은 이미 아시고 계시겠지만,

3/30 월요일 유가가 20 달러 밑으로 급격히 하락했다는 소식이다.

최근 18년동안 최하 가격.

감산합의 실패로, 러시아 사우디가 모두 증산을 선언=> 공급과잉

코로나 바이러스=> 수요감소

브랜트 오일은 2.09달러(8.4%) 하락하여 22.84달러가 되었다.

WTI 오일은 1.11달러(5.2%) 하락하여 20.40달러가되었고, 이전에는 19.92달러까지 하락했었다.

 

현재의 유가가 너무 떨어져서 기존의 업체들은 이윤을 내기 어려워졌고 현재 기업을 운영하는데도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 수익감소 및 실업자 증가

이는 이미 진행중이다... 특히 미국의 실업자수가 급증하고있다는 소식이다.

 

이후 중략... 

 

**내 의견

이것은 정말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타격이 더 클 수도있다.

 

이번에 유가가 하락한 것은 감산 합의 실패 원인도 있지만,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거의 모든 국가의 산업이 마비 상태가 되면서,

현재의 공급과잉 상황에서 수요까지 감소하면서 유가하락을 야기하게된 것이라고한다.

 

좀 더 전문적인 내용은 최근에 유튜브 삼프로 채널에서도 다뤘으니 링크를 첨부하겠습니다.

내용에 따르면 심한 경우에는 10달러 밑으로도 떨어질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고하니...

https://youtu.be/GOLsIax3P18

https://youtu.be/gvSoozcmvP0

 

반응형
반응형

나는 이제 막 걸음마를 뗐다

'나는 정말 무지했고, 무관심했구나.'

최근에 공부를 시작하면서 느낀 점이다.

하지만 무식함은 죄가 아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시작해보려고 한다.

 

경제는 너무나도 복잡했다.

한국 내에서만 일어나는 것들만 파악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세계 전체를 하나하나 신경 써야 하니 말이다.

그래서 확인해야 할 것들도 너무나도 많다는 것을 느꼈다.무

 

앞으로는 확인해야할 것들을 이 포스팅에 가능한 매일 확인해보려고 한다.

 

확인할 것들은 무엇인가?

혹시나 제 블로그나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은 쌩초짜인 저에게 조언 부탁 드립니다 ㅠㅠ

 

1. 한국 시장 지수 (코스피/코스닥) 및 매매동향

2. 환율, 달러 인덱스

3. 미국 지수 (다우/나스닥/S&P)

4. 유가

5. 차트분석

6. 유럽 지수

7. 아시아지수

8. 달러/위안, 달러/유로 환율

9. VIX 지수

10. 한국 채권

11. 미국 채권

12. 한국은행 정책 및 보고서

13. 미 연준 정책

14. 금/은 가격 및 동향, 금/은 비

15. 원자재 가격

16, 미국 대표 주식들의 동향 및 가격

 

일단 생각나는대로만 적었는데도 정말 많다.

앞으로는 확인할 사이트 및 정보들의 링크를 아래에 추가할 예정이다.

 

**업데이트 내역

- 첫 작성 (2020.03.30)

 

반응형
반응형

[유튜브 채널 추천] 대산 경제 분석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ahdzy-Cjx98cZmaLE7Dg

 

대산경제분석

[금융환경 변화 대응 무한양적완화 금융위기] 저금리 시대가 지속 되면서 자산을 지키고 늘리는 방법을 배우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든 환경입니다. 쉬운 공부 방법을 같이 공유 하는 채널입니다. https://youtu.be/cGTxD-YP7rI [ 세계 경제 흐름 ] https://yo...

www.youtube.com

추천해드릴 유튜브 채널은 [대산 경제 분석] 채널 입니다.

주인장이신 대산님은 네이버 블로그와 다음 카페도 함께 운영중이십니다.

초반에는 네이버 블로그에서 활동하시다 최근에는 유튜브와 함께 운영하고 계신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최근에야 발견하고 챙겨보고있는 채널인데요.

물론 대산님과는 다른 관점을 가지고 계신 분들도 있을테지만.

제 생각에는 대산님은 아직까지는 냉정하게 현상에 대해서만 말씀해주시고 분석해주시고계십니다.

특히 대산님은 이런 분석 자료들 외에도 배울점이 참 많은 분 같습니다.

물론 더 지켜봐야할지도 모르지만 현재까지는 그렇습니다 ㅎㅎ

 

제가 앞으로 공부를하면서 기록을 하는데에도 많이 참고할 예정입니다.

대산님도 항상 공부를 강조하는데 저같이 이제 막 발걸음을 뗀 초보도 Insight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ㅠㅠ

저는 게으르고 노는 것을 좋아하는데 빨리 이런 부분을 고쳐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게임 한 번하고 영상보면서 뒹굴거릴 시간에 책한권이라도 더 읽고 미래를 준비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노력해야겠죠?

 

아래는 대산님의 카페와 블로그 주소도 함께 첨부합니다.

 

다음 카페: http://cafe.daum.net/ohaeng4

 

대산 경제 분석

YouTube 강의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ahdzy-Cjx98cZmaLE7Dg 금융 공부 !

cafe.daum.net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ohaeng4

 

대산 경제 분석 : 네이버 블로그

경제 위기 무한 양적완화 일목균형표 엘리어트 파동이론 캔들 핵심을 알고 생존할 수 있는 공부 경제 분석

blog.naver.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