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27일차.

(확진자: 81,541 => 95,733 / 사망자: 5,899 => 6,762)

미국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있고, 유럽과 남미쪽의 증가 추세가 장난 아닙니다...

중동쪽도 많이 증가하고있는 추세입니다.

 

격리해제: 41,814 => 60,884

아무래도 후발 국가들이 자구 생겨나고 결국에는 거의 모든 대륙과 위치들을 동일한 패턴으로 흘러야 하락으로 내려올 것 같습니다. 1~2번 정도의 추가 증가 (ㅅ 형태)가 만들어지고 나서야 내려올 것 같습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106일째)

1/23 시작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5/3 고점횡보 (30일)

5/4~6/1 (예상) 하락추세 진행중 (10,000명~20,000명)

6/1~6/15 (예상) 저점횡보 (5,000~10,000명)

6/15~6/30 (예상) 1차 안정기 (2,500~5,000)

6/30~7/15 (예상) 2차 안정기 (1,000~2,500)

7/15~7/30 (예상) 3차 안정기 (500~1,000)

7/30~8/15 (예상) 4차 안정기 (250~500)

8/15~(예상) 소강기 (250명 이하)

 

아직까진 하락추세 유지하고있다고 생각하겠습니다 만약 내일도 2만명 위로 올라서면 다시 고점횡보로 수정.

뉴욕이 잠잠해졌지만 이제는 시카고에서 폭발적으로 감염이 늘고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806 => 10,810, +4명

사망자 증가. 255 => 256, +1명

격리해제 9,333 => 9,419, +86명

(총 107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 (18일, 3차 안정기 진행중)

 

이번주 금요일까지 5명 미만이면 소강기로 수정.

한국도 집단감염 우려뉴스가 몇개 나오고있는데 확진자가 없길...

 

기타 우려국가 살펴보기

브라질은 금방 괜찮아지나 싶더니 예상대로 의료시설 및 키트의 부재로 확진자가 나타나지 않았었나 봅니다.

아직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보입니다.

 

영국도좀처럼 나아지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확진자가 늘어나고있습니다.

어느정도 완만하게 내려오는가 했지만 급격히 발생하는 날짜가 빈번하게 늘고있습니다.

만약 이 속도로 는다면 이탈리아와 스페인까지 넘어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페루의 흐름은 브라질과 비슷합니다.

남미권 국가라 그런지 브라질과 비슷한 모양새입니다.

인도는 이제 슬슬 내려오기 시작한 것일까요

 

 

반응형
반응형

https://www.긴급재난지원금.kr/ncheck/checkProcForm

 

https://www.xn--jj0bb2kr6h965bxcbp8g.kr/ncheck/checkProcForm

 

www.xn--jj0bb2kr6h965bxcbp8g.kr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말이 많고도 탈도 많았던 코로나바이러스로인한 재난지원금 신청이 곧 가능해졌다.

지자체의 지원금과는 다른 것이니 헷갈리지 말자.

지자체 지원금과의 중복지원이 가능한지도 알아봐야한다.

예를들면 경남의 경우 지자체 지원금을 수령했을 경우 긴급재난지원금에서 그 금액은 제외하고 지급이된다고한다.

지금은 조회 기간! 조회 서버가 폭발할 것을 대비해서인지 이 또한 5부제로 실시중이다.

공적마스크와 동일하게 진행한다고 보면 편하다.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니 주의하도록 하자.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대상

가장 말이 많았던 부분이다.

결국에는 소득과 무관하게 전 가구 100% 지급으로 결정되었고,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자동 기부로 전환이 된다고 한다.

소득·재산과 상관없이 대한민국 모든 국민 (가구당 지급)

 

긴급재난지원금 지원 금액 그리고 지급 방법

가장 관심이 있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가구원수별 차등 지급 (주민등록세대기준 + 건강보험료상 가구기준)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 가구: 80만원, 4인 이상 가구: 100만원 
지자체에서 이미 지급받은 경우는 금액이 다를 수 있음.

현금수령은 기초생활보상자나 장애인과같은 특수한 경우에만 가능하다고하다.

어짜피 생활여력에 보탬이 되는 것이니 현금이든 카드 포인트든 상품권이든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이러한 방법이 돈세탁이나 의도하지 않는 곳으로 흐르지는 않아야할 것이다.

 

신청은 일단 온라인으로 신청도 가능하고 방문 신청도 가능하다.

가까운 읍면동사무소에서 가능한데 가기전에 전화로도 상담이 가능하다고하니 헛걸음 방지를 위해 연락을 먼저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26일차.

(확진자: 79,630 => 81,541 / 사망자: 4,112 => 5,899)

세계는 아직 고점 횡보 추세입니다.

숫자를 보아하니 후발 국가들의 확진자가 증가추세에 있는 것 같네요.

 

격리해제: 43,876 => 41814

 

여전히 평균에서 크게 내려오지 못하고있네요.

국가별 현황을보니, 중동 그리고 남미국가들의 확진자 증가추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의료시설이나 시스템도 취약한 국가들이라 더 걱정이 됩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105일째)

1/23 시작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5/3 고점횡보 (30일)

5/4~6/1 (예상) 하락추세 진행중 (10,000명~20,000명)

6/1~6/15 (예상) 저점횡보 (5,000~10,000명)

6/15~6/30 (예상) 1차 안정기 (2,500~5,000)

6/30~7/15 (예상) 2차 안정기 (1,000~2,500)

7/15~7/30 (예상) 3차 안정기 (500~1,000)

7/30~8/15 (예상) 4차 안정기 (250~500)

8/15~(예상) 소강기 (250명 이하)

 

아직까진 하락추세 유지하고있다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증간에 4번정도 튀긴 했지만 그래도 꾸준히 하락하고는 있죠?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804 => 10,806, +2명

사망자 증가. 254 => 255, +1명

격리해제 9,283 => 9,333, +50명

(총 106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 (17일, 3차 안정기 진행중)

 

이번주 금요일까지 5명 미만이면 소강기로 수정하겠습니다.

대한민국은 안정적인 상태라 정말 다행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25일차.

(확진자: 82,002 => 79,630 / 사망자: 3,510 => 4,112)

 

격리해제: 34,282 => 43,876

다시 내려오는 추세.

현재 확진자가 유럽쪽에서 후발 국가에서 많이 발생하고있어서 여전히 고점 횡보.

 

미국 예상

(미국 - 총 104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5/3 고점횡보 (30일)

5/4~6/1 (예상) 하락추세 진행중 (10,000명~20,000명)

6/1~6/15 (예상) 저점횡보 (5,000~10,000명)

6/15~6/30 (예상) 1차 안정기 (2,500~5,000)

6/30~7/15 (예상) 2차 안정기 (1,000~2,500)

7/15~7/30 (예상) 3차 안정기 (500~1,000)

7/30~8/15 (예상) 4차 안정기 (250~500)

8/15~(예상) 소강기 (250명 이하)

 

미국은 어쨋든 하락추세에 접어든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내일이나 모레쯤까지 지켜보면 확실해질 것 같네요)

사실 지속적으로 하락추세인 모양인데 중간 중간 갑자기 치솟는 현상이 있어서 다시증가하는 것처럼 보이게되는 것 같습니다.

없으면 지속적으로 내려올 것 같습니다. 유럽국가들도 대략 이런 흐름을 보이네요.

모양새가 한국하고는 조금 다른 것 같아서 위 예상과는 조금 다를 것 같네요.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801 => 10,804, +3명

사망자 증가. 252 => 254, +2명

격리해제 9,217 => 9,283, +66명

(총 105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 (17일, 3차 안정기 진행중)

 

만약 2~3일 5명 미만으로 진행된다면 소강기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해야겠습니다!

드디어 한국은 종식이되는 걸까요?

반응형
반응형

https://www.zerohedge.com/markets/gundlach-stunned-learn-fed-hasnt-purchased-single-corporate-bond-yet

 

Gundlach Stunned To Learn Fed Hasn't Purchased A Single Corporate Bond Yet

 

www.zerohedge.com

 

(주말간 있었던 트윗인데 지금에야 올리네요)

내용을 요약해 보자면...

연준의 $6.66 trillion 규모의 재무재표를 살펴보면, 연준이 지난달 투자등급 채권과 ETF를 매매한다고 선언한 이후 단 1개의 회사채도 매입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내용은 사실이란 것.

 

(이 내용에 대해 채권왕 건드라크가 위 처럼 트윗한 것.)

 

오히려 투자자들이 싼 값이 채권을 사서 연준에 비싸게 되팔려는 움직임이 있는 상태이다.

이렇게되면 연준은 어쩔 수 없이 채권을 사야할 것이다.

만약 채권을 사지 않는다면 기업과 시장이 붕괴하기 시작할 것이고, 채권을 사게된다면 돈만 먹는 좀비 기업들이 대거 양산될 것이다.

사실상 진퇴양난의 상태라고 보인다.

그리고 이것은 자유시장경제 논리에 꽤 많이 어긋난 조치이다.

적자생존, 약육강식의 시장에서 모두를 살리는 것이 옳은 판단인가?

잔인하다고 보일 수 있지만 지금 살린다고 미래가 달라지진 않을 것이다 오히려 더 큰 추격과 사회적 혼란으로 다가올 것이다. 2008년의 양적완화의 선택부터가 잘못된 것은 아닐까?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24일차.

(확진자: 82,925 => 82,002 / 사망자: 5,193 => 3,510)

전체적으로 여전히 고점 횡보중이네요... 5월은 어떻게 진행될지...

조금이라도 감소추세를 보여야할텐데 말이죠...

 

격리해제: 39,652 => 34,282

다시 내려오는 추세를 보이고는 있습니다.

이전에도 그랬었는데 라고 하실 수있지만 일단 미국이 일 확진자가 조금씩 줄고있습니다.

미국도 마찬가지로 증가했다 다시 줄고있는 것이라 하실 수 있지만 일단은 다시 내려오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몇일 더 지켜봐야겠지만요...

미국 예상

(미국 - 총 103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5/3 고점횡보 (30일)

5/4~ 하락추세 진행중?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793 => 10,801, +8명

사망자 증가. 250 => 252, +2명

격리해제 9,183 => 9,217, +34명

(총 104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4/18 2차 안정기) (8일)

4/19~ (16일, 3차 안정기 진행중)

 

3차 안정기는 꽤 오래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