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83448 

 

'자금난' 대한항공, 최대 1조원 유상증자 추진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심각한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대한항공이 대규모 자본확충을 추진한다.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최소 5천억원, 최...

news.einfomax.co.kr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06/2020030690121.html

 

[포커스] 102개국이 韓에 빗장…국내 항공사 벼랑끝 위기

[앵커]일본 등 전세계 102개국이 한국인 입국을 사실상 제한하면서, 국내 항공업계가 벼랑끝 위기에 몰렸습니다. 3만원대 국제선 티켓까지 내놓으..

news.tvchosun.com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항공업계 직타격

코로나바이러스로 각국 간의 여행이 막히면서 항공업계 전체가 비상에 걸렸다.

세계의 항공업계 전체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특히 항공업은 고정 유지비용이 크고 항공기 구매로 부채율이 높은 특성 때문에 이렇게 국가간 교류가 중단되면 타격이 엄청나다.

그리고 기존에 보유하던 유가 가치의 하락, 고객들이 구매했던 표들을 취소/환불하면서 부채가 증가하고있는 추세이다.

 

한국의 대한항공은 자금난에 시달리며 서울과 제주도의 부동산을 정리하기 시작했고 일정기간 직원들의 휴업을 진행중이다.

최근에는 유동자금의 부족으로 유상증자도 계획에있다.

이와중에 경영권 다툼은 아직도 지속중이라는게 안타까운 현실이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4/412277/

 

매달 고정비 6000억 못버티고 대한항공 1조 유상증자 추진 - 매일경제

이달중 보유현금 바닥 가능성 상반기 만기 차입금 1조 넘어 자구책 한계…최후카드 꺼내

www.mk.co.kr

아시아나도 비상에 걸렸다.

기존에 HDC에서 인수하려고했지만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이 또한 지연되고있다.

특히 재무상태가 더 좋지 못한 아시아나의 경우 현재 산은과 수은에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재무 개선을위해 만든 에어서울과 에어부산도 임직원들의 휴업 및 임원들의 월급반납을했고, 앞으로 회사의 유지가 가능할지 의문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0152800003?input=1195m

 

HDC현산,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계 제로'…4월말 인수 미룰 듯 | 연합뉴스

HDC현산,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계 제로'…4월말 인수 미룰 듯, 서미숙기자, 산업뉴스 (송고시간 2020-04-21 06:31)

www.yna.co.kr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1/2020042103944.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산은·수은, 아시아나항공에 1.7조 추가 지원

22일 아시아나 이사회서 지원 방안 최종 확정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아시아나항공(020560)에 1조70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한다.산은은 ..

biz.chosun.com

이와중에 두 기업에 대한 차별아닌 차별이 보여지는 것 같기도 하다.

지난 조선업과 유사하게 진행되고있다. 대조양과 아시아나가 겹처보이고 삼성중공업과 대한항공이 겹쳐보인다.

 

기타 LCC들도 비상이다. 그나마 국내 사정이 나아지면서 국내선, 특히 제주도편 운행이 조금씩 증가 예상되고 예약도 이어지고있는 추세라 숨통을 조금이라도 돌릴 수 있는 듯하다.

 

해외는 더 심각하다!

이런 항공업 타격은 국제적으로 더 심각한 수준이다.

호주의 버진항공은 코로나바이러스로 최초로 부도가 나는 항공사로 예상되고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1/2020042100975.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코로나 쇼크' 호주 2위 항공사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법정관리 돌입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7년 연속 적자에 부채 3.8조원코로나에 수요 격감하자 濠정부에 SOS 요청했으나 거절당해호주 2위 항공사인 버진 오스트레..

biz.chosun.com

특히 부채율이 높고 규모가 큰 기업들이 크게 문제가 되고있는데, 각 국의 지원금 투입을 무한정 하는 것도 답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가 중요한 상황이다.

델타항공의 경우 최근 워렌 버핏이 주식을 매각한 것으로 소문이 났다.

아래의 영상은 워렌 버핏이 왜 델타항공주를 정리했을까에 대한 분석을한 유튜버의 영상이다.

영상에 따르면 항공업은 코로나 이후 이전의 상황으로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 판단하고있다.

https://m.youtube.com/watch?v=hH---QGqcss&feature=youtu.be 

 

호텔, 관광, 면세, 백화점 주들이 코로나바이러스로 엄청난 타격을 입고있다.

과연 이 위기를 극복하고 살아남을지. 아니면 이들이 먼저 무너져 경제 전체에 큰 파장을 일으킬지... 정말 하루하루 두려운 나날이 이어지고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v.kakao.com/v/20200420070354776 

 

113년 역사 美 니만마커스, 코로나發 파산 1호 백화점 되나

113년의 역사를 이어온 미국의 고급 백화점 니만마커스가 이르면 이번주 안에 파산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니만마커스가 파산 신청을 하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경제적 여파에 굴복한 최초의 미국 주요 백화점이 되는 것이다. 니만마커스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43개 점포의 문을 닫았고,

v.kakao.com

113년 전통의 백화점 문 닫나?

백화점 면세 사업군은 코로나 위기로 직타격을 받은 업종중 하나이다.

[본문]

미국의 113년 전통을 이어온 니만마커스 백화점이 금주 내 파산신청을 할 예정이다.

니만마커스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43개 점포의 문을 닫았고, 직원 1만4000명에 대해 무급 휴직을 단행했다.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니만마커스가 이달말까지 갚아야 할 빚은 1억1500만달러(약 1400억원)에 달했다.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에 따르면 니만마커스의 대출금은 약 48억달러(5조8500억원)에 이른다.

 

미국의 사업체 대출지원에도 해결할 수 없는 부채이기에 파산신청을 단행해야하는 것같다.

백화점들이 문을 닫으면 각 브랜드 이익에도 타격이 이어질 것이다. 그래도 백화점 업종은 하위 산업군에 타격은 그나마 덜 할 것이다. 대신 실업자 수는 많이 나올 것 같다.

 

현재 상태로는 니만마커스를 인수할 기업이 없을 것이다. 코로나 사태가 어느정도 진정되면 가능하지 않을까 하지만 그때가되면 이미 실질적인 타격이후일 것이다.

 

작은 나라들도 휘청거리기 시작하고, 큰 국가들의 중소기업들 뿐만아니라 큰 기업들도 휘청거리기 시작했다.

과연 경제에 직타격을 가할 폴른엔젤(Fallen Angel)이 나타날 것인가...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14일차.

(확진자: 69,646 => 74,837 / 사망자: 6,035 =>4,303 )

확진자는 다시 늘어났습니다. 대신 사망자는 어느정도 감소폭으로 들어간게 맞는 것 같습니다.

고점 횡보가 진행된지는 2주가 지났습니다. 이제 슬슬 내려오기 시작할 때이긴 합니다.

 

격리 해제: (18,350 => 27,877)

격리 해제 는 다시 증가했습니다.

사실 코로나바이러스로는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이상 이제는 더 나빠질 상황도 없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각 국가들이 잘 관리해서 하락추세로 이어지고 안정기에 접어드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제는 경제적인 상태를 버텨나가는게 더 중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

터키나 칠레 같은 국가들의 증가 추세가 보이는 것 같아서 조금 안타깝습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89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9 고점횡보 (17일) <=진행중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2만 4천명 대로 조금 내려오긴 했습니다만 아직은 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661=> 10,674 +13명

사망자 증가. 234 =>236, +2명

격리해제 8,042 => 8,114, +72명

(총 90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 (11일, 2차 안정기)

 

13명이 발생했습니다. 내일도 비슷한 수준이라면 3차 안정기로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오늘은 조금 늦게 올리게되어서 좀 애매할지도 모르겠네요 어쨋든 흐름은 계속 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날 결과도 같이 고려해서 보시면될 것 같습니다.

낮에 확인했을때는 얼추 7만명 정도였습니다. 횡보라고 보시면될 것같네요 아마 내일 제가 정리할때는 4~5만이 나오면 횡보라고 보면 되고 그 이하면 하락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늦은관계로 간단하게 숫자만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오늘은 조금 늦게 올리게되어서 좀 애매할지도 모르겠네요 어쨋든 흐름은 계속 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날 결과도 같이 고려해서 보시면될 것 같습니다.

낮에 확인했을때는 얼추 7만명 정도였습니다. 횡보라고 보시면될 것같네요 아마 내일 제가 정리할때는 4~5만이 나오면 횡보라고 보면 되고 그 이하면 하락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확진자 고점 횡보 9일차.

(확진자: 72,026 => 101,381 / 사망자: 5,439 => 9,405 )

 

격리 해제: (21,452 => 47,890 )

그래프만보면 일단은 횡보상태인 것 같네요...

미국 예상

(미국 - 총 84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8 고점횡보 (12일) <=진행중, (예상)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미국은 일단 일 확진자 25,000명 이하로 내려가기시작하면 하락중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564=> 10,591 +27명

사망자 증가. 222=>225, +3명

격리해제 7,534 => 7,616, +82명

(총 85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 (6일, 2차 안정기)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어쨋든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됐네요...

이번주는 희소식이 많기를 기대하겠습니다.

확진자 고점 횡보 8일차.

(확진자: 72,711 => 72,026 / 사망자: 5,412 => 5,439 )

제가 생각하기엔 아직 고점에서 횡보 중이고, 정점이 지났다고 해결된 문제도 아닌데 걱정입니다.

 

격리 해제: (19,575 => 21,452 )

 

아래는 제가 정리한 통계입니다,

아직 7만 이상에서 횡보중입니다.

이번주 말까지 5만대로 내려오면 좋을텐데...

미국 예상

(미국 - 총 83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8 고점횡보 (11일) <=진행중, (예상)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따지고보면 이미 고점을 지난 것은 지난주인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인데, 주지사나 트럼프가 말을 했다는게 큰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아직 한 달 가량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말이죠...

 

이탈리아 예상

(이탈리아 - 총 75일째)

1/31 시작

3/22 정점 (완료)

3/22~3/29 고점횡보 (8일)

3/29~현재 하락추세 (17일) <=진행중

한국보다 두배정도 진행됨

4/4 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4/4~5월 저점횡보

5월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6월쯤 천명 내외로 완만하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

 

이탈리아는 하락후 횡보라기보단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로 진행되는 모양입니다.

그래도 해결되는 시기는 어느정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537=> 10,564 +27명

사망자 증가. 217=>222, +5명

격리해제 7,447 => 7,534 , +87명

(총 84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4/9 1차 안정기 (4일)

4/10~ (5일, 2차 안정기)

 

어느덧 4달째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3개월 조금 지나서 해결되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비드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6일차.

(확진자: 87,174 => 85,840 / 사망자: 6,433 => 7,234)

제가 잡는 통계와 생각으론... 아직까진 고점에서 횡보중입니다...

 

격리 해제: (28,440 => 26,067)

격리 해제 인원도 횡보.

 

코로나바이러스 코비드19 코로나19 흐름 예상해보기

오늘은 좀 다르게 접근해서 예상을 해보겠습니다.

 

비 과학적으로 접근해봤을 때, 희망적으로보면 4/30일경에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까요?

대충 저쯤 저점을 찍고 5~8월까지 진행되면 마무리가 될 수 있을지?

대한민국이 그나마 가장 정확하다고 가정하고 많이 진행됐으므로 기준으로 삼아 비교를해보면

미국은 6월이 되어야 현재 우리나라 수준이 된다?

오늘 한국이 27명 확진 => 미국은 일일 1000명대...?

아무튼 위처럼 비과학적으로 비교분석해보면 빠르면 5월, 늦으면 6월까지는 진행이 될 것 같습니다.

 

(미국 - 총 79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2 고점횡보 (7일) <=진행중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횡보기준이 길어지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423=> 10,450 +27명

사망자 증가. 204=>208, +4명

 

격리해제 6,973 => 7,117, +144명

(총 81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5일, 1차 안정기, 50명 미만 확진)

오늘은 확진자가 많이 줄었습니다, 아직까지는 더 지켜봐야할 것 같기때문에

1차 안정기 진행중으로 판단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