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전 세계 현황

확진자 고점 횡보 4일차.

(확진자: 72,701 => 85,143 / 사망자: 5,233 => 7,376)

고점횡보 상태 4일차 입니다.

어제 말한 것처럼 긍정적으로 보는게 맞는지 의문입니다.

저는 아직 그럴 단계는 아닌 것 같습니다. 한국만해도 아직 집단감염 사례가 또 나왔고...

일단은 더욱더 조심하고 지켜봐야할 단계입니다.

제가 정리하는 기준 시간이 달라서그런지 제가 정리하는 기준으론 오히려 어제보다 증가했습니다.

 

격리 해제: (13,997 => 23,465)

격리해제는 증가했습니다.

 

참 이런게 보면 통계라는게 보는관점에따라 달라진다는걸 느끼게 해줍니다.

어찌보면 감소하는 추세 어찌보면 횡보 추세...

일단은 막대그래프 흐름상으론 하락하는 모양새입니다.

 

미국 예상

(미국 - 총 77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4 정점 (이전예상 4/1일, 3일 지연)

4/4~4/12 고점횡보 (5일) <=진행중

4/12~4/19 하락추세

4/19~ 5월 중순 저점횡보

6월 어느정도  안정기 돌입 예상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및 추세

확진자 증가. 10,331 => 10,384 +53명

사망자 증가. 192=>200, +8명

 

격리해제 6,598 => 6,776, +82명

(총 79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4/5 저점횡보 (25일)

4/6~(3일, 1차 안정기, 50명 미만 확진)

1차 안정기 진행중!

일단 확진자가 53명으로 0명이 넘었지만 어느정도 50 내외 수준이라 안정기라고 생각하겠습니다.

 

무려 세댈째를 향해가고있습니다.

확진자가 속출한 2월 중순쯤부터 사투가 시작됐다고 생각하면,

그로부터 3달은 버텨내야할 것 같네요.

전 세계적으로 종식은 그로부터 2달은 더 지나야 선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7~8월 정도?

살면서 가장 길게 느껴지는 3개월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0/04/350986/

 

미국 3월 일자리 70만개 감소…실업률 4.4% - 매일경제

미국 노동부는 3월 비농업 일자리가 70만1000명 감소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신규 일자리가 감소세를 보인 것은 지난 2010년 9월 이후로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산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보인다. 이전까지 미국의 비농업 일

www.mk.co.kr

미국 실업률 4.4%

지난 금요일 (4/3) 미국의 3월 실업률이 발표되었다.

일자리가 70만 1000개 가량 사라졌고 지난주 발표되었던 실업수당 신청인원도 예상치를 두배이상 상회했다. 600만건 이상.

이번주에 발표할 실업수당 신청인원은 7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있다. 1차와 2차 때 신청 인원이 예상의 두배가 넘은 것으로 보면 1000만명이 넘을 수도있다는 불안감이 든다. 

미국 실업률은 예상치였던 3.8%보다 높은 4.4%로 발표되었다. 실업률이 예상치보다 높다는 것은 당연히 긍정적인 신호는 아니다.

일각에선 코로나 사태가 지난 후, 미국의 실업률이 최대는 15%이상이 될 것이라 예상하기도한다. 보통 10% 정도를 내다보고 있는 것 같다.

 

https://www.investing.com/economic-calendar/unemployment-rate-300

 

United States Unemployment Rate

Get the Unemployment Rate results in real time as they're announced and see the immediate global market impact.

www.investing.com

실업률 4.4%는 아직 위험한 것이라고는 보기 어려울 수도있다. 왜냐면 4%밑으로 내려온 것이 2018년 부터라서 2년이 채 되지 않은 이야기이다. 2019년부터는 미국 역사상 최저의 실업률 유지했었다. 아직까지는 4%대는 뭐... 예전에도 있었던 수치니까 정도로 느낄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에 만약 이 시기를 잘 버텨내면 또 괜찮아질 수도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10%가 넘었던적이 많지는 않다. 수치상으론 2번 뿐이다 닷컴버블때도 10%가 넘지는 못했다.

10%가 넘는다는 것은 일단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겪는 것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파급력을 낸다는 것이다.

만약 최악의 예상치인 15%가 넘는다면 그 때는 정말 아무도 겪어보지 못한 시기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공황을 겪어봤다면 알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2분기 중에서도 4월의 수치들이 목해야할 부분인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긴 한 주가 지나고 주말이 되었습니다.

주말 사이에는 좀 희소식이 들려야 할텐데 아직도 확진자는 증가 추세네요...

확진자 증가추세 6일차.

금요일에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었습니다.

미국 유럽쪽에서 경각심 없이 지낸 동안 퍼져버린 사람들의 잠복기가 지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다음주까지는 현재 수준만 유지해도 잘 대응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인류가 이렇게 질병에 취약할 것이라곤 생각 못했는데... 이번 코로나 사태가 마무리되면 정말 많은 변화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확진자: 79,381 => 102,611 / 사망자: 5,938 => 6,028)

생각보다 증가폭이 커진 것 같습니다... 다음주쯤에는 사망자도 10만명 정도가 될 것 같고...

오늘 올린 시간이 조금 늦은 것을 감안해도 여전히 확진자는 증가추세에 있다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발생 국가도 처음에 올리기 시작했을때 205개국이었나? 5개국이 늘어났으니 이제 시작한 곳들은 이제 시작이다 라고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격리 해제: (17,661 => 16,879)

확진자가 늘어나는 속도에 비해 격리 해제의 속도는 가속도가 붙지 않는 것이 조금 아쉽네요.

실제로 그런가 그래프 추이로 봤더니 완만하긴 하네요.

확진자가 많은 상위 국가들은 여전한 추세입니다. 한국은 조금씩 내려가고있습니다. 전에부터 언급한 브라질의 증가추세가 무섭습니다. 그리고 신규로 들어오기 시작한 나라들을 보면 작은나라들이고 의료시스템이 그렇게 우수하지 않은 취약국가들이 많다는점이 우려됩니다.

그래도 일별 추세로보면 고점에서 횡보를 하는 상황이라고봐야겠네요.

전에도 언급한 추세로

시작=>횡보=>증가추세=>정점=>고점횡보=>하락=>하락횡보=>하락=>횡보

의 형태로 진행된다고 가정하면,지금은 전 세계가 고점 횡보의 추세인 것이고

한국이 시작=>정점까지 걸린 시간이 44일

세계가 시작=>정점까지 걸린 시간이 72일

좀 더 넉넉하게 생각해서 전 세계적으로 두배정도의 시간이 걸린다고 가정하면 하락 4월말이나 되어야 하락추세로 이어질 것 같습니다.

고점횡보 (4월 말) / 하락추세 (5월) / 하락횡보 (6월) / 저점횡보 (7~8월) 이라고 생각하니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중간에 정말 치료제나 억제제가 나오지 않으면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미국이 73일째 진행중이며 현재도 증가추세입니다. 일일 확진자가 3만명이 넘어갔고 이제는 정말 의료시스템이 붕괴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미국도 국가에서 '핫 존(HOT ZONE)' 을 지정하여 봉쇄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뉴욕, 플로리다, 워싱턴 주가 대표적입니다.

제가 눈여겨 보고있는 브라질인데, 의외로 확진자 증가 추이가 늘진 않고 있습니다.

아마도 검사가 1000명 단위로 밖에 안돼서 그런 것 같기도한데... 더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한국의 추세는 좀처럼 내려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너무 오랜 기간 지속되면서 한국인 특유의 에라 모르겠다 근성이 나오기 시작해서 걱정이 됩니다.

한강 방문객이 작년보다도 더 많았다는 뉴스를 듣기도했고 실제로 동네 공원을 지나가는데 사람들이 엄청 나왔더라고요...

다들 걱정이 돼서 마스크는 썼는데 사람이 또 그렇게 많음 소용 없을 것 같은데.

확진자는 증가했지만 조금 줄었습니다. 10062 => 10156 +94명

사망자도 증가했습니다. 174=>177, +3명

만약 한 달 내로 정리가 된다고하면 한국은 총 13,000명 정도, 사망자는 250명정도에서 마무리 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격리해제 6021=>6325, +304명

격리 해제 숫자가 늘었습니다 불행 중 다행입니다...

(총 75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현재 저점횡보 (24일, 진행중)

 

반응형
반응형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1520897&isYeonhapFlash=Y&rc=N

 

재난지원금, 3월 건보료 기준으로…4인 23만7천∼25만4천원 이하(종합)

고액자산가는 제외…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는 별도 증빙 등으로 보완긴급재난지원금 (PG)[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김지헌 기자 = 정부가 올해 3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소득 하위 70% 가구에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이에 따라 직장가입자를 기준으로 본인부담 건강보험료가 4인 가구는 23만7천원...

news.naver.com

재난지원금 지급기준 및 금액

소득하위 기준금액

뭐 어찌됐든 이미 결정난 사실이고 위 사진에도 있지만  지금대상 기준을 요약해봤다.

3월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하위 70% (고액자산가는 제외)

직장가입자

1인 가구: 8만8천334원 이하

2인 가구: 15만25원 이하

3인 가구: 19만5천200원 이하

4인 23만7천652원 이하

 

지역가입자

4인 가구: 25만4천909원 이하

혼합가구: 24만2천715원 이하

(**혼합가구: 직장인가입자 + 지역가입자)

 

지급금액: 4인 가구 이상 기준 100만원

지급은 현금 지급이아니라 지역상품권이나 화폐로 지급한다고한다.

 

자신이 긴급재난지원금 선정 기준인지는 직장가입자의 경우 월급명세서로, 지역가입자는 건강보험 납입 고지서로 확인할 수 있다.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nhis.or.kr/index.jsp

 

건강보험료 조회하기

 

www.nhis.or.kr

재난지원금 대상자 발표, 과연 공정한가?

여전히 말이 많은 재난지원금 대상자 기준이 금일 발표되었다.

힘들고 안 힘들고를 과연 객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가?

그리고 정확하게 알 수 있나?

에 대한 생각이 들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마음으론 이해하기 쉽진 않다.

나도 힘들고 나도 낸 세금인데 나는 못 받으니 그럴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이전에 국가장학금 초기때도 비슷했던 것 같다.

정말로 힘든 사람이 아닌데도 나보다 많은 국가장학금을 받아가는 사례가 허다했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우선 힘든분들이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론 올바른 결정이라고 생각된다.

나 100만원 받자고 휘청거리는걸 볼 수는 없으니 말인다 (이미 휘청거리고 있지만...)

하루빨리 이 코로나 사태가 지나갔으면 한다...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코로나바이러스 전세계 추세

오늘은 조금 늦었습니다 (3시간 정도?)

그 때문인지 누적 숫자가 꽤 많이  차이가 나네요

확진자 증가추세 4일차.

치사율이 5%이상으로 올라섰습니다. 갈수록 무서워지는 코로나 바이러스...

어제가 정점이 아니었네요... 상당히 폭발적으로 증가하고있습니다...

(확진자: 52,448 => 77,507 / 사망자: 2,588 => 5,103)

이번주 금요일까지 5만명 내외 수준이면 정점상태로 횡보한다고 판단해야겠습니다.

 

격리 해제는 꽤 감소 했습니다. (5,583 => 16,467)

누적 순서에는 큰 변화는 없습니다.

미국은 71일차 진행중

오늘 다시 정점을 경신했습니다.

아직 고점횡보를 하는지는 주말까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이탈리아는 63일차 진행중

다시 좀 증가했지만 아직까지는 하락추세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역시 주말까지 지켜봐야겠네요...

브라질은 37일차 진행중

고점횡보 진행추세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추세

확진자는 증가했지만 조금 줄었습니다. 9,887 => 9,976 +89명

사망자도 증가했습니다. 165=>169, +4명

격리해제 5,567=>5,828, +261명

한국 예상해보기

오늘도 어제에 이어 예상정리 해보겠습니다.

(총 73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현재 저점횡보 (22일, 진행중)

횡보기간이 조금 길어지고있네요, 4월중순까지 해결이 되길 기도합니다...

50명 미만으로 떨어지는 1차 안정기가 하루빨리 왔으면 하네요!

반응형
반응형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2020년 4월 1일 수요일 코로나19 (COVID-19) 현황

 

(증감 추세를 제가 포스팅한 날짜로부터 카운팅을 시작하겠습니다, 3/30 카운팅 시작)

확인하는 시간대가 매번 다르기 때문에 그로인한 차이는 생길 수 있습니다.

매일 점심쯤에 해보도록 해야겠네요...

 

확진자 증가추세 3일차

어제보다 확진자와 사망자 모두 증가했습니다. (확진자: 43,797 => 52,448 / 사망자: 2,481 => 2,588)

확진자도 사망자도 아직은 더 늘고있는 추세입니다...

어제 4월 중순쯤에 정점을 찍지 않을까 예상해봤지만,

정점을 찍은상태로 횡보를 할 가능성도 높다는 생각이 드네요.

 

격리 해제마저 감소 했습니다. (8,923 => 5,583)

완치같은 경우에는 케바케이기 때문에 그냥 추이를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어제 기준 78만명 정도였는데 하루만에 85만명 정도가 되었네요 하루에 10만명씩 증가...

예상대로 이번주 100만명 돌파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것 같네요.

어제 한국이 13위였는데 오스트리아가 치고올라와 14위로 내려갔습니다.

북미와 유럽 국가들은 정점을 향해 달려가고있는데 남미 국가들이 이제 시동을 걸기 시작한 것 같아서 우려가됩니다.

특히 브라질, 포르투갈같은 곳을 거치면서 바이러스가 또 돌연변이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됩니다.

미국과 유럽 주요국인 영국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는 계속해서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있습니다.

프랑스가 조금 사그라드는 느낌이긴한데 더 지켜봐야겠죠...

일단 전세계적으로는 수치상으론 정점을 찍고(6만명대) 어느정도 횡보를 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기타 지역에서 다시 폭발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하지 않는다면 다음주 쯤에 감소 단계로 돌입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한민국 현황

확진자는 증가했지만 숫자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그래도 아직도 100명대라 추세가 이어진다고봐야겠네요.

확진자 9,786=>9,887, +101명

사망자도 증가했습니다. 162=>165, +3명

격리해제 5,408=>5,567, +159명

 

한국은 경남권은 여전하지만 다시 수도권에서 확진자 발생이 증가하면서 계속해서 횡보하는 상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언제쯤 이 악몽이 끝날 것인지...

어느정도 확진자추세가 횡보를 하고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예상

한국 예상해보기

뭐 예상이 무슨 의미가 있겠냐만... 그래도 어떻게될지 한 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한국은 위에서처럼

(총 72일째)

1/21 시작

2/29 정점

2/29~3/6 고점횡보 (7일)

3/6~3/12 하락추세 (7일)

3/12~현재 저점횡보 (21일, 진행중)

정점을 기점으로 2주뒤부터 하락횡보를 이어나가고

안정화가되려면 지금 추세에서 한번 더 하락하여 횡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일단은 50명 미만으로 내려와야할 것 같은데... 과연 그게 언제일지

정점으로부터 40~45일 이상부터 안정화가 될 것이라고 하던데 그보다는 더 걸릴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가 4월 중순쯤에 1차 안정기에 돌입할 것 같네요.

 

미국 예상해보기

한국의 사례를 미국에 적용해서 예상해 보겠습니다.

(미국 - 총 70일째)

1/23 시작

희망적으로 오늘이 정점이라고 가정을한다면?

4/1 정점

4/1~4/7 고점횡보 

4/7~4/13 하락추세

4/14~ 5월초 저점횡보

5월말 1차 안정기 돌입

빨라야 6월이라는 예상이네요

미국에서 괜히 락다운을 부활절에서 6/1로 연기한 것이 아니네요...

 

이탈리아 예상

이탈리아는 발생시점은 조금더 늦었지만

미국보다 어느정도 상황이 진행되었습니다.

 

(이탈리아 - 총 62일째)

1/31 시작

3/22 정점

3/22~3/29 고점횡보 (8일)

3/29~현재 하락추세 (4일, 진행중)

고점횡보 기간을보며 어느정도 한국과 비슷하게 간다고 생각하면

4/4 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4/4~5월 저점횡보

5월 중순 1차 안정기 돌입

미국보다 빨라야 1~2주 정도로 예상되고 오히려 인프라나, 기술등을 고려하면 비슷한 때에 정리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6월이나 7월경...

 

브라질 예상

다음은 그냥 남미쪽의 상황이 어찌될까 해서 브라질을 놓고 봐보겠습니다.

브라질에도 무슨일이 생긴건지 오늘 갑자기 폭발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했습니다.

2/26에 시작이라는데 사실 이때는 이미 브라질 전역으로 퍼져있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아시아 지역에 1월에 퍼졌는데 한달이 지나서야 첫 확진자가 나온 것은 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일단은 수치만 놓고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브라질 - 총 36일째)

2/26 시작

4/1을 고점 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4/1~4/7 고점횡보

4/7~4/13 하락추세

4/13~5월 중순 하락횡보

6월 초 안정기 1차 안정기 돌입

이대로면 7월은 되어야 안정화가되고 그 이후에 종식이 되겠네요...

 

처음에 전문가들이 예상한 것처럼 9월은 되어야 종결이 될까말까 하는 것 같습니다.

그 사이에 또 어떤 변화가 생길지 모르는 일이고... 전 세계가 동시에 다 같이 시작! 하고 진행된 것이 아니라 시간 차이가있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버텨나가야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이대로라면 세계가 안정되는 것은 빨라야 7~9월 사이일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